『방법으로서의 경계』 | 산드로 메자드라·브렛 닐슨 지음 | 남청수 옮김 | 2021.1.28

아우또노미아
작성자
갈무리
작성일
2021-01-29 17:18
조회
1094


보도자료

방법으로서의 경계

전지구화 시대 새로운 착취와 저항 공간의 창출

Border as Method, or the Multiplication of Labor


현대의 세계화는 경계 없는 세계를 창조하기는커녕 경계의 확산을 야기하고 있다.

『방법으로서의 경계』에서 메자드라와 닐슨은 경계 확산의 지도를 그리며, 이주 운동, 자본주의적 변형, 정치적 삶에 이 확산이 갖는 함의를 살핀다.


지은이 산드로 메자드라·브렛 닐슨 | 옮긴이 남청수 | 정가 27,000원 | 쪽수 512쪽
출판일 2021년 1월 28일 | 판형 국판 (145*210) | 출판사 도서출판 갈무리
총서명 Mens, 아우또노미아총서 73
ISBN 978-89-6195-255-2 03600 | CIP제어번호 CIP2020051593
도서분류 1. 정치철학 2. 지리학 3. 사회과학 4. 정치학 5. 사회학 6. 정치경제학

인터넷서점 바로 가기 :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반디앤루니스 영풍문고


이 책은 이주, 노동, 주권, 그리고 공통적인 것 등의 쟁점들을 일관성 있고 강력한 이론적·정치적 전망 속에서 결합하는 의제설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경계를 단순히 어떤 현장으로뿐만 아니라 방법으로 다룸으로써, 메자드라와 닐슨은 경계들이 사회적 공간의 변두리에 고립되어 있지 않으며 그 사회적 공간을 가로지르고 있음을 밝힌다. 이뿐만 아니라, 경계들이 현대의 정치를 바라보는 뛰어난 렌즈가 되고 있음도 밝히고 있다.

― 마이클 하트, 『선언』, 『공통체』, 『다중』, 『제국』의 공동저자


『방법으로서의 경계』 간략한 소개

현대의 세계화는 경계 없는 세계를 창조하기는커녕 경계의 확산을 야기하고 있다.

경계는 선이 아니다. 경계에는 공간, 그리고 더불어 시간까지 포함된다. 이 책에서는 지도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국경선이나 경계의 이미지가 확장된다. 누군가에게는 전자여권으로 10초 만에 통과하는 출입국 심사대가 소말리아의 해변에서 동력선을 타고 지중해나 혹은 황해를 넘는 몇 주 혹은 몇 달의 밀항의 시공간으로 늘어날 수 있다. 누군가에게는 내가 이 나라의 일원이 될 수 있느냐 없느냐를 판별 받는 몇 년의 시간이 되기도 하고, 그들이 ‘존재’하는 모든 곳이 되기도 한다.

산드로 메자드라와 브렛 닐슨은 경계 지대를 둘러싼 폭력의 분위기를, 그리고 다양한 지리적 스케일에 걸친 경계투쟁들을 탐구한다. 이들은 유럽, 아시아, 태평양, 아메리카 등지에서 가져온 사례 연구를 통해 자신들의 이론적 주장들을 논증한다. 저자들에게 경계는 연구 대상일 뿐 아니라 인식적 틀이기도 하다. 방법으로서의 경계는 국민국가의 위기와 변혁에 관한 새로운 관점들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시민권과 주권 같은 정치 개념들에 대한 강력한 재평가를 가능케 한다.


『방법으로서의 경계』 상세한 소개

경계는 지도 위가 아니라 공항 입국 심사대에 있다

본국으로 귀국하려고 출국 심사를 받는 와중에 자신의 나라에 쿠데타가 터지며 내전이 터졌다. 모든 비자와 여건이 정지됐다. 순간 자신의 국적은 사라졌고 또한 돌아갈 자신의 고국도 남을 타국도 사라졌다. 터미널이라는 ‘무국적’의 공간에 남겨졌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는 생존을 위한 또 다른 삶을 시작한다. 톰 행크스 주연의 미국 영화 <터미널>의 한 장면이다.

아프리카의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전쟁을 피해 난민 신청을 한 가족이 있다. 그들은 당면한 문자 그대로의 ‘생존’을 위해 난민 신청을 했지만 통상 이것이 통과되는 데는 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그들은 2년이란 기간 동안 공식적으로는 자신의 고국도 아니고 목적국도 아닌 ‘어딘가’에 존재한다. 그들이 있는 곳은 난민신청자를 위한 수용소/대기소일 수도 있고, 아니면 불법체류자이자 불법노동자로서 사회 어딘가일 수도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이 볼 때 톰 행크스가 ‘갇힌’ 터미널이나 그 ‘어딘가’는 모두 경계에 해당한다. 저자들이 보기에는 이주민들이 본국에서의 위험을 피해서 더 나은 삶을 위해 이주를 위한 험난한 여정을 시작하는 곳에서부터 이들의 흐름을 통제하는 경계는 시작된다.

경계 없는 세상은 오지 않았다

1990년대 초 세계화를 수식하는 단어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었다. 유동, 흐름, 부드러운 공간, 전지구적이고 지역적인 연결, 탈민족주의. 1990년에는 일본 경영학자 오마에 겐이치의 책 『경계 없는 세상』이 출간되었다. 인류가 머지않아 국가 간 경계와 장벽이 무너진 하나의 지구촌을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많은 사람이 확신했었다. 실제로 유튜브와 SNS가 실시간으로 지구 반대편의 소식들을 전해주지 않는가? 상품과 사람의 국경을 넘는 이동이 흔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지 않은가?

이 책 『방법으로서의 경계』의 저자들은 ‘경계 없는 세상’이라는 이미지로는 더는 우리 세계를 설명할 수 없다고 본다. 이 책에 따르면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경계는 확산하고 증식하고 있다. 지난 20년의 전지구화는 경계의 감소보다는 오히려 확산을 낳았다.(106쪽) 2019년 멕시코의 ‘불법 이주민’을 겨냥한 트럼프의 장벽이 세워졌다. 코로나 팬데믹이 이후 전 세계 각국에서 ‘백신 민족주의’가 부상하고 있다. 오늘날 경계는 굳건하고 오히려 강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저자들은 ‘경계는 확산하고 있다’는 주장이 민족국가가 귀환하고 있다거나, 민족국가가 전지구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주장과는 다르다고 분명히 말한다. 민족국가는 오늘날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조직되고 있고, 과거와는 다른 형식을 띠게 되었다. 현재의 전지구화 과정들의 핵심적 특성 중 하나는 상이한 지리적 스케일이 지속적으로 재형성된다는 점이다. 이런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경계 연구자’는 국경선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구획들을 탐구해야 한다. 경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경계는 생산한다

이 책에 따르면 경계에 대한 일상적인 이해에서나, 경계연구라고 불리는 학문 분과에서나, 경계를 사고하는 익숙한 방식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경계는 가로막고 배제하는 장치라는 것이다. 이는 경계를 철조망, 장벽, 장애물의 이미지로 이해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경계의 목적은 통제하는 것이다’라는 통상의 이해에 도전하면서 ‘경계는 생산한다’고 말한다. 저자들에 따르면 경계는 현대의 전지구적이고 탈식민적인 자본주의의 다양한 시공간들을 생산하는 데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경계들은 단순히 사람, 화폐, 물건들의 전지구적 이동 경로를 가로막거나 방해하는 것과는 정반대로 그것들의 접합(articulation)을 위한 핵심적인 장치가 되어가고 있다.”(18쪽)

2020년 2월 인천공항에 도착했지만 난민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는 한국 정부 탓에 1년 가까이 공항에 갇혀 있는 난민신청자 A씨가 머물고 있는 공간은 어디의 안이고, 어디의 밖인가?(https://bit.ly/3iVvB3S) 이런 모호함과 이종성이 현대 세계에서 경계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경계는 ‘외부’와 ‘내부’를 가르는 기능을 할 때조차도 그 목적은 항상 ‘포섭의 차별적인 관리’라는 점을 저자들은 강조한다. 이런 해석의 연장선상에서 저자들은 경계 장벽의 폭력성을 강조하는 비평가들이나 ‘예외’ 혹은 ‘벌거벗은 삶’ 같은 개념을 활용하는 경계 비판 방식보다는 경계의 유연하고 이동적인 움직임을 강조하는 것이 우리 시대를 이해하는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경계를 철조망으로 여기는 것은 경계의 한 가지 기능만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이미지에 갇히는 순간 우리는 경계라는 기제의 유연성을 이해할 수 없게 된다고 본다. “경계는 사람들을 선별하고 거르는 포섭의 장치이며 상이한 순환의 형식이기도 하다.”(30쪽)

경계는 선이 아니다

저자들이 문제 삼는 경계에 대한 또 하나의 통념은 경계가 선이라는 것이다. ‘경계’라는 말은 지도 위에 각기 다른 색깔로 표시된 영토를 나누는 선명한 선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한다. 선형적인 경계라는 이미지, 경계를 지리적이고 영토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방식이 경계에 대한 이해를 지배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2장 「제작된 세계」에서 저자들은 지도제작의 역사와 자본의 역사를 오가는 서술을 통해서 영토 구획선이라는 경계의 이미지는 근대의 산물이며 제국주의와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가 저자들을 따라 ‘경계는 선이다’라는 명제를 의문에 붙이는 순간 오늘날 경계가 작동하는 더 복잡한 방식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경계는 복합적인 사회 제도이다. 경계는 사람, 화폐, 물건의 전지구적 통로들을 관리하고, 통치하는 장치이다. 저자들은 이 책에서 ‘경계지’(borderland), ‘변방’(frontier)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해서 경계를 다양한 행위자들과 움직임, 사건들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인식한다.

경계와 ‘노동의 증식’

경계를 이종적 시공간을 생산하는 기제로 이해하고, 지리적 경계라는 통념을 역사화한 후, 저자들은 노동의 전지구적 스펙트럼을 범주화해 온 몇 가지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현대의 전지구적 노동분업을 이해하는 데 널리 이용되어온 몇 가지 방식이 있다. 지구를 북과 남으로 구분하거나, 동과 서의 분할을 강조하는 방식들이 있다. 또는 세계를 1세계, 2세계, 3세계로 나누어 ‘세 개의 세계 모형’을 지지하는 이론도 있다.

경계의 증식이 지구를 이종적인 시공간으로 끊임없이 분할하고 접합하는 시대에, 이런 설명 방식이 여전히 타당할까? 1세계, 2세계, 3세계는 명확하게 구분되는가?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라는 말로 현대 세계의 모습을 충분히 포착했다고 할 수 있을까? 저자들은 그렇지 못하다고 보면서 ‘분명한 선으로 분할된 지도’의 이미지에서 출발해서는 현대 세계를 이해할 수 없다고 본다. 세계의 가장 부유한 국가들의 대도시 지역들 일부가 “제3세계”적인 조건에 처해 있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북남 분할이나 동서 분할, 혹은 세 개의 세계 모델이 상정하는 ‘국제노동분업’ 개념을 보완하는 것으로서 저자들은 ‘노동의 증식’이라는 개념을 제출한다. 이는 3장 「자본의 변방」에서 주로 설명되는데, 3장에서 저자들은 세계 시장에 대한 맑스주의적 분석, 국제노동분업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과 새로운 이론들을 차례로 검토한 후 이제 지리적 분열보다 중요한 것은 전지구적 공간의 안정성을 훼손하는 스케일, 지대, 경로들의 증식이라고 주장한다.

가사돌봄노동자와 금융거래노동자

4장 「노동의 인물형」은 돌봄노동자와 금융거래노동자라는 현대 노동의 주체적 인물형들을 분석하면서 이들을 연계하고 분할하는 경계를 탐구한다. 노동은 지난 몇 세기 동안 ‘여성화’되었다. 또 많은 학자가 ‘이주의 여성화’라고 부른 현상은 이주의 성별 구성에서 50% 이상의 이주민이 여성이라는 점 이외에 전지구적인 이주 움직임 속에 젠더 관계와 노동의 성별분업에 대한 갈등이 들끓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저자들은 여성 가사돌봄노동자는 노동의 여성화와 이주의 여성화 둘 다를 육체화하는 인물형이라고 보면서 이들이 어떻게 다양한 사회적 영역선과 경계들에 도전하고 그것들을 변형하는지를 분석한다.

저자들이 4장에서 가사돌봄노동자와 금융거래노동자를 함께 살펴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홍콩의 부유층을 위해 일하는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출신 가사노동자들은 홍콩상하이은행 빌딩의 금융거래노동자와 무슨 관계일까? 예를 들어서 저자들은 금융노동자들의 끝나지 않은 근무시간이 어떻게 가내 노동분업을 조장하고, 유급 가사노동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켰으며, 금융의 중심도시들에서 이주 돌봄노동의 팽창을 야기했는지를 지적한다. 저자들은 이 두 집단의 노동자는 젠더, 소득, 육체적, 인지적 과업들의 할당 등에 관한 세계노동 스펙트럼에서 양극단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이들의 삶이 어떻게 얽히고설켜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현대 세계의 노동과 경계의 작동에 관해서 많은 것을 알려준다.

경계, 시간, 통치성, 시민-노동자, 번역, 그리고 공통적인 것

이외에도 이 책에서는 ‘경계’를 주제로 한 책이라고 믿기 힘들 만큼 다양한 주제들이 다뤄지며 독자들에게 수많은 개념무기들을 제공하고 있다. 5장 「시간적 경계의 공간 속에서」에서는 차별적 포섭 개념이 소개되며, 국경 치안과 노동 통제 방법에서 시간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펴본다. 경계의 시간과 공간은 지연과 격리를 통해 이주자의 노동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주요한 장치가 된다. 전지구화, 신자유주의의 흐름 속에서 경계는 한편으로 자본 그리고 국가에게 새로운 노동 관리와 분배의 기제가 되고 있다. 차별적 포섭은 “영역, 사회, 혹은 영역 안에서의 포섭이 어떻게 다양한 수준의 종속, 지배, 차별, 파편화에 의존할 수 있는지를 묘사하고 분석하기 위한 수단”(239쪽)이라고 저자들은 설명한다.

6장 「통치성의 주권 기계」 는 현재의 전지구적 이주 레짐을 설명하는 데 거버넌스나 통치성이라는 개념이 왜 부족한지를 설명하면서, 통치성의 주권 기계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출한다. 7장 「구역, 회랑, 그리고 탈개발적 지형」에서는 특히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한 특별경제구역, 항로, 엔클레이브, 뉴타운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강탈과 착취의 유형 간의 복합적인 연계를 가시화한다. 이 장에서 다뤄지는 중국의 실리콘밸리 중관춘이나 인도 콜카타 변두리의 뉴타운인 라자르핫과 같은 경계구역들은 일상적인 시야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자본의 변방’이 새롭게 팽창하는 구체적인 현장이다.

“도대체 착취 개념에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라는 도발로 시작하는 8장 「주체 생산하기」는 시민-노동자 인물형의 쇠퇴를 논의하는데, 경계의 이동과 확산이 어떻게 자본주의의 노동 조직을 특징짓는 분업과 위계들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강력하면서도 동시에 광범위하게 확산되도록 하였는지를 설명한다. 그러면서 이종적인 경계 공간들만큼이나 다종다양해진 주체성의 형상들 사이에서 ‘번역’이 왜 중요한지를 검토한다. 경계에서 이주자들, 노동자들은 서로 다른 언어, 지식 간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거치며 새로운 주체성을 만들어낸다. 200년 전 노예선을 타고 미지의 땅으로 수송되던 ‘노예들’은 각자 서로 다른 종족성으로 출발했지만, 이내 서로 간의 소통과 경험, 지식을 공유하며 새로운 언어와 정체성을 만들어내기도 했다는 것을 저자들은 사례로 든다.

9장 「공통적인 것 번역하기」는 공통적인 것과 경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질문한다. 정치이론과 정치철학에서 발전되어온 번역 개념을 투쟁의 실천과 관계지으면서 공통적인 것의 새로운 개념이 다른 투쟁들과의 번역 행위에 의해서 정교화될 수 있느냐는 문제와 연결시킨다. 자본과 국가가 경계를 넓히자 아이러니하게도 그곳에서 새로운 삶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


지은이·옮긴이 소개

지은이
산드로 메자드라 (Sandro Mezzadra, 1963~ )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 인문학부 교수. 서시드니 대학 문화사회연구소 부연구위원. 미국 듀크 대학, 독일 훔볼트 대학, 프랑스 인문과학재단, 슬로베니아 류블라냐 대학, 에콰도르 라틴아메리카 사회과학대학, 아르헨티나 산마르틴 국립대학 등의 방문교수 및 연구위원이었다. <유로노마드>의 공동 창립자이며 탈식민주의 비평과 전지구화와 이주 및 정치의 관계, 현대 자본주의 등을 연구해왔고, ‘포스트-오뻬라이스모’ 논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저서로 Diritto di fuga, La condizione postcoloniale, In the Marxian Workshops, Un mondo da guadagnare 등이 있고, 공저로 『방법으로서의 경계』, The Politics of Operations 등이 있다. 그 외 다수의 유럽 및 국제 연구 프로젝트 작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는 <지평선 2020 프로젝트 ‘플랫폼, 노동, 도시 공간’>을 총괄하고 있다.

브렛 닐슨 (Brett Nielson, 1963~ )
호주 서시드니 대학 문화사회연구소 교수. 대만 국립 자오퉁 대학, 독일 훔볼트 대학,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 영국 런던 대학 골드스미스 등의 방문교수와 연구위원이었다. 전지구화에 대한 대안적 인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이주 행위, 노동 및 자본의 변혁, 기술 변화, 지정학적 과정 등을 연구한다. 공저 『방법으로서의 경계』, The Politics of Operations가 있고, Logistical Asia를 공동 편집하였다. 호주 연구위원회의 4개국 간 프로젝트인 ‘환승 노동’, ‘물류적 세계’, ‘데이터 농장’, ‘자동화의 지정학’ 등을 총괄하고 있다.

옮긴이
남청수 (Nam Cheongsoo)
한국에서 국제정치학과 정책학, 스웨덴에서 평화분쟁을 공부했다. 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에서 평화구축 지원 활동, 젠더와 개발, 국제 보건 분야 사업 발굴과 기획, 개도국 여성 대상 사업의 발굴 조사·기획·운영 등에 참여했다. 개도국 젠더 이슈와 다양한 불평등·폭력과 대응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공저 『열두 개의 키워드로 이해하는 국제개발협력』, 공역서 『매혹의 도시, 맑스주의를 만나다』, 『게임』, 『게임이 학교다』, 역서 『제국의 게임』이 있다.


저자 산드로 메자드라와의 인터뷰

아래 링크에서 인터뷰 전문을 볼 수 있다. https://rustbeltradio.org/2018/05/09/ep17/

질문 : 장벽의 유연성, 장벽의 이동성은 장벽이 단순히 배제의 도구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장벽과 경계는 포섭하면서 배제하는 무언가로 존재합니다. 경계의 이중 기능에 대해서, 그리고 이 점을 생각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답변 : 경계가 배제한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그 배제가 종종 끔찍한 형태를 취한다는 것도 분명합니다. 아시다시피, 미국-멕시코 국경 너머 사막에서의 죽음들, 지난 몇 년간 수천 명의 사람이 지중해에서 익사했습니다. 이 점을 잊지 맙시다. 그리고 이것에 맞서 계속 투쟁합시다. 그와 동시에 경계는 포섭의 형식들도 형성한다는 점을 기억합시다. 저의 친구이자 동료인 니콜라 드 제노바는 이러한 관점에서 멕시코인들의 미국으로의 이주에 대해서 많은 글을 썼고 경계가 이주자의 신체와 노동을 불법화할 때조차 핵심적인 포섭 기능을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우리가 유럽에 관해서 보여준 것입니다. 즉 “유럽 요새” 이미지의 효과와는 별개로 지난 20년 동안 유럽의 경계 레짐은 우리가 차별적인 위계적 포섭이라고 부른 일종의 제방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유럽에서도 이주 신체와 이주 노동의 불법화가 일어날 때조차 그러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론 이주자들의 경험에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더 일반적으로 다양한 지리적 스케일에 걸쳐 시민권과 노동시장을 재형성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띱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요(유럽과 미국은 완전히 다른 이주의 역사를 갖는 점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 지난 몇십 년간 행동주의(activism)의 비판적 사고법에서 오직 ‘배제’에만 초점을 맞춰 생각하는 경향이 보입니다. 배제에 저항하는 투쟁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지요. 물론 우리는 그러한 투쟁을 지속해야 하지만, 포섭 역시 폭력적인 차별 현장을 갖는다는 점을 잊을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다시 공세적 입장에 설 수 있고 배제의 영역 너머로 우리의 비판과 우리의 활동(activism)을 확장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질문 : 답변의 마지막 부분과 연결해서 질문드리자면,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곳에서 활동가들이 경계의 폐지를 요구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변 : 저는 지금까지 수년간 “경계 반대 정치”(no border politics)에 참여해 왔습니다. 저는 경계 반대 캠프와 경계 반대 행동을 조직하는 일을 함께해 왔습니다. 이것이 제가 경계라는 주제에 관여하게 된 배경입니다. 저는 경계 폐지를 강조하는 것이 단지 규범적인 표현으로 틀지어질 때는 약간의 지루함을 느낀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우리의 이상적인 세계에는 경계가 없어야 한다는 식으로요. 저는 우리의 세속적인 세계, 실제 세계에 더 관심이 있습니다. 저는 현대의 경계 증식과 경계 변이를 둘러싼 투쟁들이 더 관심이 있습니다. ...

질문 : 그러니까, 경계는 장벽일 뿐만 아니라 기계라는 것이군요. 포섭할 뿐 아니라 배제할 능력도 있는 ‘방법’이요. 그리고 우리가 감옥이나 형벌 체계를 생각할 때도 배제 기계라고 생각하게 되는데요. 그런 것들이 누가 사회에 속하고 누가 속하지 않는지를 결정한다는 식으로요, 특히 미국에서는 인종적 선을 따라서요. ... ‘방법으로서의 경계’는 감옥이나 감금[체계] 전반에서는 어떻게 작동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답변 : ... 감옥들이 배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은 자명해 보입니다. 신체들을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가두고 경계 짓습니다. 미국에서 ... 대량 투옥이 사회의 형성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질문을 던져보겠습니다. 이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과 그 밖에 엄연히 존재하는 사회 간의 관계를 주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예를 들어 감옥에서 수행되는 노동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교도소가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관련하여 수행하는 기능은 무엇입니까?


책 속에서 : 전지구화 시대 새로운 착취와 저항 공간의 창출

이 책에서 우리는 미래의 세계 질서가 가질 형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지 않다. 그보다 우리는 현재 세계의 무질서를 면밀히 살펴보고 어떤 식이든 베스트팔렌적 질서로 회귀한다는 관점에서 미래를 생각하는 것이 왜 매우 비현실적인지에 관해 설명해 보고자 한다.

― 1장 경계의 확산, 29쪽

우리에게 방법이란 세계에 대한 이해에 관해서만큼이나 그 세계에 대해 행동하는 것과 관계된다고 말할 수 있다.

― 1장 경계의 확산, 46쪽

국제노동분업 개념은 중요한 경제적 단위로서 국가보다는 “지역”을 선택한 이종화 과정으로 인해 그 연관성이 줄어들고 있다. 이것은 분업의 요소에 대해 지나치게 고집스러운 강조가 우리가 지금까지 서술해 온 노동의 증식을 쉽사리 모호하게 할 수 있으며, 그것을 교차하는 주체의 긴장, 운동들, 투쟁들도 마찬가지로 모호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3장 자본의 변방, 147쪽

방법으로서의 경계의 관점에서, 돌봄노동자와 금융거래노동자가 경계를 둘러싼 긴장의 강도를 드러내고 이를 통해 현대의 경계 확산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현재 전지구화되고 있는 생산 시스템들이 어떻게 국제노동분업과 같은 구성체들뿐 아니라 노동의 장을 분할하는 수단들, 이를테면, 육체노동과 정신노동 간의 분절에 대한 인지와 같은 다른 수단들을 복잡하게 만드는지를 탐구함을 의미한다.

― 4장 노동의 인물형, 151쪽

“불법” 이주자의 수용소에 관해서, 아감벤이 제시한 가장 근본적이고 눈부신 통찰은 수용소가 그곳의 거주자들을 법적 질서로부터 배제시키기 위해 동일한 법적 질서 안으로 잡아들이는 방식을 고민하는 지점이다. 이러한 포섭을 통한 배제의 과정은 이 책에서 가장 결정적인 주요 주제 중 하나이다.

― 5장 시간적 경계의 공간 속에서, 223쪽

경계와 이주 체제의 대변혁을 위한 전략적 참고 지점으로서 칼 맑스의 노동력 개념을 채택하면서, 우리는 현대의 이주통제와 억류 시스템이 정상과 예외, 통치와 주권 간의 경계들을 모호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 6장 통치성의 주권 기계, 252쪽

확산하고 있는 경계의 세계에서 번역가의 업무와 정치조직가의 업무는 서로 빈번히 수렴되고는 한다.

― 8장 주체 생산하기, 395쪽

공통적인 것과 경계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공통장들의 파괴와 공적·사적 영역의 형성에서 구회화와 경계짓기의 여러 선을 추적하는 것이 수행하는 구성적 역할에 대해 우선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 9장 공통적인 것 번역하기, 422쪽


추천사

이 책은 이주, 노동, 주권, 그리고 공통적인 것 등의 쟁점들을 일관성 있고 강력한 이론적·정치적 전망 속에서 결합하는 의제설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경계를 단순히 어떤 현장으로뿐만 아니라 방법으로 다룸으로써, 메자드라와 닐슨은 경계들이 사회적 공간의 변두리에 고립되어 있지 않으며 그 사회적 공간을 가로지르고 있음을 밝힌다. 이뿐만 아니라, 경계들이 현대의 정치를 바라보는 뛰어난 렌즈가 되고 있음도 밝히고 있다.

― 마이클 하트, 『선언』, 『공통체』, 『다중』, 『제국』의 공동저자

메자드라와 닐슨은 숙련·비숙련, 합법·불법 등 노동의 전지구적 운동들에 초점을 맞추며, 경계에 대한 생각을 전지구적 자본 연구를 위한 주요한 이론적 도구로 견인시키려는 지금까지의 시도들 중에서 가장 야심 찬 시도를 시작하고 있다. 그들은 전지구화에 관한 현대의 논쟁들에 풍부하고 강력한 목소리를 더해주고 있다.

― 디페시 차크라바르티, 『유럽을 지방화하기』의 저자

이 책에서 산드로 메자드라와 브렛 닐슨은 반대되는 것들의 통합이 갖는 생산력을 기술한다. 이들은 전지구적 세계의 양극단으로부터 출발해서 ‘경계횡단’과 ‘경계강화’라는 반대의 유형들이 어떻게 ‘경계투쟁’을 낳고, 그럼으로써 주체성, 이해가능성, 공통성을 낳게 되는지를 분석한다. 이때 그들은 경계를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한다. 새로운 인류를 만드는 폭력과 언어의 접합이 바뀌고 있듯이 정의로 가는 문턱도 바뀌고 있다. 이 책은 우리가 현재 어떠한지를 묻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무엇이 되어가고 있는지를 묻고 있다.

― 에띠엔 발리바르, 『마르크스의 철학』, 『역사유물론 연구』의 저자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7
들어가며 14

1장 경계의 확산
택시에서 바라본 세상 22
경계란 무엇인가? 26
경계경관 안에서 33
방법으로서의 경계 40
노동력 봉쇄하기 48

2장 제작된 세계
음영선 58
현대 지도제작법의 본원적 축적 63
세계의 유형 73
훈련된 고릴라와 성스러운 암소 82
대륙 이동 92

3장 자본의 변방
전지구적 공간의 이종성 105
근대 자본주의와 세계 시장 112
국제노동분업의 계보학 124
자본주의의 이행들 130
노동의 증식 140

4장 노동의 인물형
세계의 노동자들 150
돌봄 161
금융거래노동자들 172
구속의 사슬, 연결의 사슬 182
누구의 단결? 188

5장 시간적 경계의 공간 속에서
찻집에서 벤치까지 200
재능을 향한 경주 207
억류와 추방가능성 214
내적 경계 226
차별적 포섭 236

6장 통치성의 주권 기계
엄격하지만 인정 있는 250
경계 통치하기 260
레짐 갈등 271
권력의 회집체 280
통치성의 주권 기계 291

7장 구역, 회랑, 그리고 탈개발적 지형
회랑과 경로 303
틀 안에서 313
집으로 가는 마지막 열차? 323
코그니잔트와 인피니티 사이 335
경계구역 345

8장 주체 생산하기
스타하노프와 우리 355
정치 주체 365
노동/력 374
경계투쟁 383
번역 노동 392

9장 공통적인 것 번역하기
누구의 방법? 402
접합, 번역, 보편성 411
공통적인 것에 경계짓기 422
협력체, 공동체 경제체, 공통적인 것의 공간 431
공통적인 것을 위한 투쟁 속에서 442

감사의 말 451
옮긴이 후기 454
참고문헌 462
인명 찾아보기 496
용어 찾아보기 502


함께 보면 좋은 갈무리 도서

『로지스틱스』(데보라 코웬 지음, 권범철 옮김, 갈무리, 2017)

로지스틱스(logistics)는 비즈니스의 물류와 전쟁의 병참을 가리키는 말이다. 로지스틱스는 상식적인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로지스틱스에 대한 학술적 연구에서도 상품을 이동시키는 순수 기술적인 문제로 다루어져 왔다. 이 책은 유통 기술에 대한 책이 아니며 전쟁술에 대한 책도 아니다. 저자는 로지스틱스가 순수 기술적인 방편이 아니라 “완전히 정치적인” 기획이라고 주장하며 로지스틱스를 현대 세계의 중심적인 문제로 다룬다.

『노예선 : 인간의 역사』(마커스 레디커 지음, 박지순 옮김, 갈무리, 2018)

노예선은 아프리카 해안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을 싣고 대서양을 가로질러 그들을 신세계로 데려갔다. 노예무역과 미국 농장체제에 관해서는 많은 것이 알려졌지만, 이를 가능하게 한 노예선에 관해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뛰어난 수상 경력의 역사학자인 마커스 레디커는 『노예선』에서 해양기록에 관한 30년간의 연구를 정리하여 이 전례 없는 함선에 관한 역사를 만들어 냈으며 함선의 흔들리는 갑판 위에서 격동하는 인간의 드라마를 그려냈다. 그는 상어를 꼬리처럼 끌고 다니는 “떠다니는 지하 감옥”에 타고 있는 선장, 선원, 노예의 삶과 죽음 그리고 공포를 냉혹하게 재구성했다.

『난민, 난민화되는 삶』(김기남, 김현미, 미류, 송다금, 신지영, 심아정, 이다은, 이용석, 이지은, 전솔비, 쭈야, 추영롱, 도미야마 이치로 / 심정명 지음, 갈무리, 2020)

이 책은 2018년 10월 무렵 예멘 난민에 대한 혐오 발언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연구‧활동가들이 모여 만들어낸 시공간의 압축적인 기록이다. 프로젝트 그룹 <난민×현장>이라는 이름은 ‘난민’과 ‘현장’을 서로 부딪쳐, 난민화되는 몸들이 놓인 상태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

『인지자본주의』(조정환 지음, 갈무리, 2011)

'인지자본주의'는 인지노동의 착취를 주요한 특징으로 삼는 자본주의이다. 우리는 이 개념을 통해서 현대자본주의를 다시 사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동의 문제설정을 새로운 방식으로 제기할 수 있다. 이 개념을 통해서 우리는, 금융자본이 아니라 인지노동이 현대세계의 거대한 전환과 사회적 삶의 재구성을 가져오는 힘이라는 생각을 표현할 수 있고, 그 노동의 역사적 진화와 혁신의 과정을 중심적 문제로 부각시킬 수 있다.
전체 299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79
<신간> 『예술과 공통장』 | 권범철 지음 | 2024.02.06
갈무리 | 2024.02.05 | 추천 0 | 조회 260
갈무리 2024.02.05 0 260
78
『대담 : 1972~1990』 | 질 들뢰즈 지음 | 신지영 옮김 | 2023.11.30
갈무리 | 2023.12.04 | 추천 0 | 조회 405
갈무리 2023.12.04 0 405
77
『자기생성과 인지』 |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 정현주 옮김 | 2023.11.3
갈무리 | 2023.11.06 | 추천 0 | 조회 427
갈무리 2023.11.06 0 427
76
『우리는 당신들이 불태우지 못한 마녀의 후손들이다』 | 실비아 페데리치 지음 | 신지영·김정연·김예나·문현 옮김 | 2023.3.8
갈무리 | 2023.03.03 | 추천 0 | 조회 826
갈무리 2023.03.03 0 826
75
『종과 종이 만날 때』 | 도나 J. 해러웨이 지음 | 최유미 옮김 | 2022.08.26
갈무리 | 2022.08.30 | 추천 0 | 조회 1078
갈무리 2022.08.30 0 1078
74
『들뢰즈 다양체』 | 질 들뢰즈 지음 | 다비드 라푸자드 엮음 | 서창현 옮김 | 2022.05.31
갈무리 | 2022.06.03 | 추천 0 | 조회 879
갈무리 2022.06.03 0 879
73
『벤저민 레이』 | 마커스 레디커 지음 | 박지순 옮김 | 2021.12.27
갈무리 | 2021.12.28 | 추천 0 | 조회 726
갈무리 2021.12.28 0 726
72
『대서양의 무법자』 | 마커스 레디커 지음 | 박지순 옮김 | 2021.11.11
갈무리 | 2021.11.12 | 추천 0 | 조회 895
갈무리 2021.11.12 0 895
71
『피지털 커먼즈』 | 이광석 지음 | 2021.10.21
갈무리 | 2021.10.26 | 추천 0 | 조회 915
갈무리 2021.10.26 0 915
70
『도둑이야!』 | 피터 라인보우 지음 | 서창현 옮김 | 2021.10.9
갈무리 | 2021.10.09 | 추천 0 | 조회 1172
갈무리 2021.10.09 0 1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