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데리치 인터뷰 - 네 번째 부분

작성자
ludante
작성일
2019-08-17 19:00
조회
278
JR: What aspects of the Wages for Housework platform were most frequently misunderstood at the time?

JR : <가사노동에 대한 임금> 플랫폼이 가장 자주 오해를 받은 측면들은 무엇입니까?

SF: The wider feminist movement was concerned with improving the conditions of women, but not equally concerned with transforming society away from capitalism. We felt that it was impossible to do the former without doing the latter.

SF : 광의의 페미니스트 운동은 여성이 처한 조건을 개선하는 데는 관심이 있었지만 사회를 자본주의로부터 탈피시키는 데는 같은 정도로 관심을 가지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후자를 하지 않고 전자를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느꼈습니다.

Wages for Housework was misunderstood as saying, Give us money so we can stay home, doing the same domestic work. We actually saw wages for housework as a strategy of refusal, as a strategy giving us more options, more power to decide how to organize our lives. We were accused of “institutionalizing women in the home.” But many women we met would tell us that they were already institutionalized in the home because, without any money of their own, they could not go anywhere or they could not leave their husbands even if they wanted to.

<가사노동에 대한 임금>은 “우리가 가사노동을 계속하면서 집에 있을 수 있게 돈을 달라.”는 주장을 한다는 오해를 받았습니다. 실제로는 우리는 <가사노동에 대한 임금>을 거부의 전략으로, 우리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부여하고 우리 삶을 조직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더 많은 힘을 주는 전략으로 보았습니다. 우리는 “여성을 집안에 제도화한다”는 혐의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만난 많은 여성들은 돈이 없으면 아무데도 갈 수 없거나 남편을 떠나고 싶어도 떠날 수 없기 때문에 이미 자신들은 가정에서 제도화되어 있었다고 우리에게 말하곤 했습니다.

Wages for Housework was not the end goal for us, as some critics supposed—which is not to say that it was not a powerful goal in itself. We believed that the struggle for Wages for Housework would be the quickest way to force the state to give us free daycare and other key support services. Unfortunately the women’s movement has still not been able to obtain them! I think this is in part because the movement put all its energy into entering male-dominated spaces, and did not struggle to change the conditions of reproductive work, particularly in relation to domestic work, child-raising, and other forms of care work. Meanwhile, instead of providing more services to women, the state has actually reduced access even to the services that were available. Today it is more difficult to get eldercare and childcare than it was at the end of the 1960s.

가사노동에 대한 임금이 우리의 최종 목표라고 추정하는 일부 비평가가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가사노동에 대한 임금이 그 자체로 강력한 목표가 아니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우리는 가사노동에 대한 임금 투쟁이, 무료 보육 및 기타 주요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국가를 강제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믿었습니다. 불행히도 여성 운동은 여전히 이러한 것들을 쟁취하지 못했습니다! 나는 이것이 부분적으로는 운동이 모든 에너지를 남성이 지배하는 공간으로 진입하는 데 사용했고, 특히 가사노동, 육아 및 기타 형태의 돌봄 노동과 관련된 재생산 노동의 조건을 바꾸는 싸움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는 동안 국가는 여성에게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기는커녕 기존에 이용 가능했던 서비스의 접근성을 오히려 떨어뜨렸습니다. 1960년대 말보다 오늘날 노후지원나 양육지원을 받는 것이 더 어렵게 되었습니다.

Our strategy was to struggle on the terrain in which women are strongest, over issues that affect us all, such as domestic work, sexuality, and child-raising, as well as paid labor. When the issue of paid maternity leave went to the Supreme Court in 1976, few feminists supported it because they were afraid that if they were granted these “privileges,” they would never be entitled to ask for equality.

지불노동뿐 아니라 가사노동, 섹슈얼리티, 육아처럼 여성이 가장 강력한 영역, 그러면서도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의 영역에서 투쟁하는 것이 우리의 전략이었습니다. 1976년에 유급 출산 휴가 문제가 대법원의 판결을 기다리게 되었을 때 이 “특권”을 부여받으면 평등을 요구할 자격이 없어질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소수의 페미니스트만이 이를 지지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However, when by the early 1980s masses of women were entering wage work, they found that “equality” remained elusive because they still had to carry out a lot of unpaid work at home, caring for children, relatives. And then they had to fight their battles separately, each in her own workplace, and at a time when the whole organization of work was being turned upside down due to globalization. There was the dismantling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the United States, with jobs going abroad, with the state cutting services—so women were entering the work force at the moment in which the roof of the factory was falling down.

그러나 1980년대 초반에 이르러 많은 여성이 임금 노동에 진입하게 되었고, 그들은 “평등”이 애매하게 남아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는데 집안에서 아이들과 친척들을 돌보는 막대한 양의 불불노동을 여전히 감당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러고 나서 각자 자신의 직장에서 개별적으로 전투를 벌여야 했습니다. 게다가 지구화로 인해 노동의 조직화 전체가 뒤집히는 시대에 말입니다. 미국에서는 일자리들이 해외로 이전되고 국가가 서비스들을 삭감하면서 산업복합체의 해체가 일어났습니다. 그러니까 여성들은 공장의 지붕이 무너져내리는 순간에 노동력으로 진입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JR: In what ways was your activism aided or hindered by the technology of the day?


JR : 당대의 테크놀로지가 선생님의 행동주의에 도움이 되거나 방해가 되는 방식은 무엇이었습니까?

It is hard to tell. But I don’t think that the lack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was a problem. It meant we spent more time talking to women in the street, in laundromats, and other places where women would gather. I think that was very important, the face-to-face encounters; it helped establish better communication than is made available by encounters online. Generally I think that the Internet consumes a lot of our time but not necessarily in more politically productive ways. We are submerged by more information than we can handle, have constant requests that we cannot respond to or that force us to become very superficial in our responses. In addition, I still have stacks of letters I exchanged with women in England, Italy, and Canada, and some are like articles in the ways they analyze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se localities—a lot of thought went into these letters. There is nothing like that today. That said, I do not doubt that the Internet and computers are also opening up new possibilities.

SF : 말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컴퓨터와 인터넷이 없어서 문제였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그랬기 때문에 길거리, 세탁소, 여성들이 모이는 다른 장소들에서 여성들과 이야기하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대면 만남이 매우 중요했다고 생각합니다. 온라인상의 마주침이 가능케 하는 것보다 더 나은 소통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우리로 하여금 많은 시간을 쓰게 하지만 반드시 정치적으로 생산적인 방식으로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감당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하는 정보 속에 잠겨있게 되고, 응답하기가 힘들거나 피상적으로 대답할 수밖에 없게 되는 요청들을 끊임없이 받게 됩니다. 덧붙이자면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의 여성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나는 여전히 수북하게 간직하고 있고, 그중 어떤 것들은 각 지역의 정치 상황을 분석하는 방식이 논문 같기도 합니다. 오늘날에는 일어나지 않는 일이죠. 그렇다고 해서 인터넷과 컴퓨터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는 사실을 내가 의심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체 0

전체 99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다중지성 연구정원 세미나 회원님들께 요청드립니다.
다중지성의정원 | 2019.11.03 | 추천 0 | 조회 1422
다중지성의정원 2019.11.03 0 1422
공지사항
[꼭 읽어주세요!] 강의실/세미나실에서 식음료를 드시는 경우
ludante | 2019.02.10 | 추천 0 | 조회 1912
ludante 2019.02.10 0 1912
공지사항
세미나를 순연하실 경우 게시판에 공지를 올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ludante | 2019.01.27 | 추천 0 | 조회 1869
ludante 2019.01.27 0 1869
공지사항
비밀글 <어셈블리> 세미나 참가자 명단 - 2019년 1월
ludante | 2018.07.05 | 추천 0 | 조회 11
ludante 2018.07.05 0 11
95
3장 발제
july123 | 2020.03.21 | 추천 0 | 조회 497
july123 2020.03.21 0 497
94
[공지] 1월 18일 7시 모임 공지
ludante | 2020.01.12 | 추천 1 | 조회 548
ludante 2020.01.12 1 548
93
16쪽 분량 수정본
july123 | 2020.01.11 | 추천 0 | 조회 529
july123 2020.01.11 0 529
92
[공지] 1월 11일 토요일 5시 페데리치 번역 모임 공지
ludante | 2019.12.14 | 추천 0 | 조회 689
ludante 2019.12.14 0 689
91
12/14 실비아 페데리치 번역모임 정리 파일입니다.
ludante | 2019.12.14 | 추천 0 | 조회 594
ludante 2019.12.14 0 594
90
발제
rakuta | 2019.12.14 | 추천 0 | 조회 551
rakuta 2019.12.14 0 551
89
합본
july123 | 2019.12.14 | 추천 0 | 조회 631
july123 2019.12.14 0 631
88
12p
evadongpachloe@gmail.com | 2019.12.14 | 추천 0 | 조회 559
evadongpachloe@gmail.com 2019.12.14 0 559
87
12월 14일 토요일 5시 페데리치 번역 모임이 열립니다.
ludante | 2019.12.06 | 추천 0 | 조회 650
ludante 2019.12.06 0 650
86
페데리치
evadongpachloe@gmail.com | 2019.11.30 | 추천 0 | 조회 646
evadongpachloe@gmail.com 2019.11.30 0 6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