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호] 해양에 대한 바른 인식의 길잡이ㅣ구모룡

이 책을 주목한다
작성자
자율평론
작성일
2022-01-18 20:43
조회
628
 

해양에 대한 바른 인식의 길잡이


구모룡(문학평론가, 한국해양대 동아시아학과 교수)


내가 마커스 레디커를 처음 접하기는 한국의 해양문학에 관한 논문을 쓰면서 『악마와 검푸른 바다 사이에서: 상선 선원, 해적, 영-미의 해양 세계, 1700-1750』(박연 역, 까치, 2001)를 읽는 데서 비롯한다. 해양과 근대를 몰각할 수 없다는 생각에서 바다만 기입되면 해양문학에 포함하는 이상한 관행을 따져 보는 과정에서 이 책을 접하였다. 역시 근대 자본주의 세계체제와 선원 계급의 형성이라는 문제를 그들의 역사로 기술하였다. 칼 슈미트가 말한 ‘대양적 전환’(oceanic turn)과 더불어 해양은 해양 경제(maritime economy)와 해양 근대성(maritime modernity)과 연동한다. 이러한 맥락이라면 우리 한국은 1950, 60년대에 이르러 해양 경제가 시작한다. 일본 제국이 바다를 지배한 시기에 해양의 출구는 ‘현해탄’에 지나지 않았다. 대양으로 나아간 시기인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 선원 계급의 이야기인 본격적인 해양문학이 등장한다. 가령 천금성의 『허무의 바다』는 한국 사회의 선원 계급 형성과 그 노동의 성격을 원양어업의 측면에서 보여준다. 적어도 그의 초기소설은 사실주의에 기반하면서 해양 세목에 충실하였다. 뒤늦게 해양 세계에 참여한 한국 원양어선 선원 노동자의 모습을 마커스 레디커의 도움을 빌려 알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상 서구 해양문학의 출발이 셰익스피어라는 인식도 대학원 수업에서 『히드라』(정남영 손지태 역, 갈무리, 2008)을 읽으면서 가능하였다. 그의 『폭풍』은 씨벤처호의 파선이 동기가 되어 창작되었다. 그는 버지니아 회사에 투자하기도 하였으며 항해가나 모험가를 만나서 조사하거나 항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기도 했다. 최근 번역된 『대서양의 무법자』는 선원과 해적과 여러 종족이 모인 패거리(잡색부대라고 번역된 motley crew) 선상 노동자들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사실을 서술하고 있다. 우선 두 가지 시각에서 주목할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역사의 주체를 지배자에 두지 않는 기술이고 다른 하나는 해양의 시점으로 인류사를 바라보는 시각이다. 선원들이 전하는 이야기들은 매우 집단적인 공동 창작에 가깝다. 해양문학의 기원이 바로 이와 같은 선원 이야기에서 비롯한다는 점은 해양문학에 관심을 지닌 연구자나 비평가에게 매우 종요로운 대목이다. 대체로 대니엘 디포의 『로빈슨크루소』를 그 출발로 삼는 이들은 이 작품을 서구 개인주의의 시발로 간주한다. 마커스 래디커도 지적하듯이 애덤 스미스나 데이비드 리카도도 이러한 입장이다.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의 윤리』도 같은 맥락인데 해양의 집단적인 선원의 역사를 육역의 자본주의와 시민 계급 형성으로 회수한 측면이 크다. 물론 네덜란드의 장르화가 해양 경제의 토대 위에서 꽃 피었듯이 해양문학도 해양 경제의 산물이다. 따라서 개인주의의 형성과 발달은 서구 근대와 별개일 수 없다. 그러함에도 선원의 집단적인 하위문화에 대한 바른 인식이 없는 해양의 바른 이해는 어렵다고 하겠다.

마커스 래디커의 책은 해양에 대한 올바른 안식과 선원 계급의 형성과 발달에 대한 이해, 세계자본주의의 형성과 이에 동반된 저항의 역사를 제대로 알게 한다. 이는 우리에게 한국 선원 계급의 형성이라는 문제의식을 부여하며 한국 해양문학의 발생론을 재검토하게 한다. 제국의 바다에 갇혀 있다 민족 해방이 해양의 해방이 되면서 한국은 1950, 60년대에 이르러 세계 해양으로 나아가게 된다. 서구에 비할 때에 몇백 년 늦은 출발이지만, 해양에 관한 한 오리엔탈리즘을 피할 수 없다고 에드워드 사이드가 지적하였듯이, 서구 따라잡기를 촉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농촌 해체와 한국 선원 계급 형성, 그리고 한국 해양문학의 발생에 대한 논의를 마커스 래디커를 통하여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다른 한편 동아시아 지중해를 횡단하던 왜구에 관한 연구도 괄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남부 세력으로만 바라보던 데서 고려와 탐라 그리고 류쿠 출신이 연합한 세력이라는 연구가 속속 나오고 있다. 캐러비언 해적 못지않은 동아시아 해적의 역사가 있으나 화이사상과 민족주의의 개입으로 아래로부터의 역사가 서술되고 있지 못하다. 하지만 해역 세계의 시각으로 이를 뒤집어 보려는 노력이 최근 들어 많아지고 있으니 왜구에 대한 새로운 역사 서술도 기대된다. 여하튼 우리는 지독한 육지중심주의, 대륙중심주의에 중독되어 있다. 한국사회가 그렇다는 말이다.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데 마커스 래디커에 상응하는 동아시아 해양 연구를 기대한다.


*



※ 편집자 주 : 이 서평은 2022년 1월 13일 <한국해양문학관> 홈페이지( https://bit.ly/3FERPRJ )에 게재되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갈무리 도서


노예선 : 인간의 역사』(마커스 레디커 지음, 박지순 옮김, 갈무리, 2018)


노예선은 아프리카 해안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을 싣고 대서양을 가로질러 그들을 신세계로 데려갔다. 노예무역과 미국 농장체제에 관해서는 많은 것이 알려졌지만, 이를 가능하게 한 노예선에 관해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뛰어난 수상 경력의 역사학자인 마커스 레디커는 『노예선』에서 해양기록에 관한 30년간의 연구를 정리하여 이 전례 없는 함선에 관한 역사를 만들어 냈으며 함선의 흔들리는 갑판 위에서 격동하는 인간의 드라마를 그려냈다. 그는 상어를 꼬리처럼 끌고 다니는 떠다니는 지하 감옥에 타고 있는 선장, 선원, 노예의 삶과 죽음 그리고 공포를 냉혹하게 재구성했다.


히드라』(마커스 레디커, 피터 라인보우 지음, 정남영, 손지태 옮김, 갈무리, 2008)


제국주의 초기 식민지 건설과 노예제 상황을 역사적 사료를 통해 밝혀낸 역사서이다. 공식적인 역사서에서는 만날 수 없는 장작 패고 물 긷는 사람들, 흑인 하녀들, 혁명적인 해적 선장, 아프리카 노예들, 진정한 아메리카 혁명의 주역인 잡색 부대 등을 만날 수 있다. 히드라는 헤라클레스 신봉자들에게 맞서 싸운 선원들, 노예들, 평민들 즉 다중(multitude)에게 붙여진 이름이다. 17세기 초 영국 식민지 확장의 시작부터 19세기 초 도시중심의 산업화에 이르기까지, 지배자들은 점점 세계화·지구화되는 노동체계에 질서를 부과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도둑이야! : 공통장, 인클로저 그리고 저항』(피터 라인보우 지음, 서창현 옮김, 갈무리, 2021)


저명한 역사가인 피터 라인보우는 이 장엄한 대걸작에서 토지를 훔치는 사람들, 바다를 오염시키는 사람들, 숲을 파괴하는 사람들, 강을 약탈하는 사람들, 산을 없애는 사람들을 겨냥한다. 내부에 공통화를 지니지 않았던 사회가 이 지구의 표면 위에 존재했던 적은 결코 없었다. “국가도 아니고 시장도 아니다.”라고 이 지구의 공통인들은 말한다. 이 글들은 우리의 미래 공통장을 밝히기 위해 꺼져가는 기억에 불을 지핀다.


캘리번과 마녀』(실비아 페데리치 지음, 황성원, 김민철 옮김, 갈무리, 2011)


자본주의의 역사에 있어서, 남성이 임금 노동자로 탈바꿈된 것 만큼 여성이 가사노동자이자 노동력 재생산기계로 되었다는 점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역설하는 페미니즘 역사서이다. 저자는 자본주의의 물질적 토대를 닦았던 이 폭력적인 시초축적 과정에서 마녀사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건이었음을 밝힌다. 이 책에서는 공식적인 역사서나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쓰인 역사책에서도 다뤄지지 않는 산파 여성들·점쟁이 여성들·식민지의 원주민 여성 노예들·여성 마술사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전체 0

전체 487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87
[81호] 도시에서 다른 삶과 연대는 가능할까ㅣ권수빈
자율평론 | 2024.04.06 | 추천 0 | 조회 36
자율평론 2024.04.06 0 36
486
[81호] 들뢰즈라는 바다, 그리고 나름의 부표일 수 있는 『대담』ㅣ이윤하
자율평론 | 2024.04.06 | 추천 0 | 조회 31
자율평론 2024.04.06 0 31
485
[81호] 니콜라예프스크블루스1ㅣ김명환
자율평론 | 2024.04.03 | 추천 0 | 조회 107
자율평론 2024.04.03 0 107
484
[80호] 상호-비평(inter-criticism)의 수행을 따라가는 흥분의 정동ㅣ임대근
자율평론 | 2024.03.26 | 추천 0 | 조회 58
자율평론 2024.03.26 0 58
483
[80호]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국가 폭력의 관점에서』를 읽고ㅣ유건식
자율평론 | 2024.03.25 | 추천 0 | 조회 52
자율평론 2024.03.25 0 52
482
[80호] 관찰자들의 다중우주ㅣ이수영
자율평론 | 2024.03.14 | 추천 0 | 조회 120
자율평론 2024.03.14 0 120
481
[80호] 『초월과 자기-초월』을 읽고ㅣ강지하
자율평론 | 2024.03.12 | 추천 0 | 조회 91
자율평론 2024.03.12 0 91
480
[80호] 아직도 신이 필요할까?ㅣ김봉근
자율평론 | 2024.02.23 | 추천 0 | 조회 422
자율평론 2024.02.23 0 422
479
[80호] 『예술과 공통장』 권범철 저자와의 인터뷰
자율평론 | 2024.02.05 | 추천 0 | 조회 422
자율평론 2024.02.05 0 422
478
[80호] 그라디바를 통한 동아시아의 ‘여성’ 정체성 모색ㅣ백주진
자율평론 | 2024.01.28 | 추천 0 | 조회 203
자율평론 2024.01.28 0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