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변적 실재론 입문』 | 그레이엄 하먼 지음 | 김효진 옮김 | 2023.1.16

카이로스
작성자
갈무리
작성일
2023-01-16 20:15
조회
1169


사변적 실재론 입문

Speculative Realism: An Introduction

그레이엄 하먼 지음
김효진 옮김


사변적 실재론은 현재 대륙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새로운 조류이다.

사변적 실재론의 최초 구성원 중 한 명이 쓴 이 책은 내부자만이 들려줄 수 있는 통찰과 세부사항들로 가득 차 있으며, 사변적 실재론 입문자에게 최적화된 상세하고 친절한 개론서이다.

2007년 4월 27일에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첫 번째 사변적 실재론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레이 브라지에, 이에인 해밀턴 그랜트, 그레이엄 하먼, 퀑탱 메이야수가 이 워크숍의 중요한 참가자였고 그 후 15여 년간 사변적 실재론의 아이디어들은 철학을 넘어 미술과 건축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다양한 분과학문으로 확산하였다.

팬데믹, 홍수, 폭염, 멸종 등이 일상의 조건으로 만들어지는 인류세 시대는 인간이 자연의 주인도 아니고 세계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피부로 느끼게 해주었다. 이 현실이 세계가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본질적으로 인간중심적인 관점인 상관주의에 반기를 드는 사변적 실재론이나 신유물론 철학이 전 세계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는 배경이다.


간략한 소개

2007년 4월 27일에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첫 번째 사변적 실재론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각자의 관념이 느슨하게 결합한 네 명의 젊은 철학자 레이 브라지에, 이에인 해밀턴 그랜트, 그레이엄 하먼, 퀑탱 메이야수가 이 워크숍의 중요한 참가자였다. 그 후 15년여에 걸쳐 사변적 실재론의 아이디어들은 철학을 넘어 미술과 건축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다양한 분과학문으로 확산하였다. 사변적 실재론은 현재 대륙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새로운 조류임이 분명하다.

이 책은 사변적 실재론 운동의 최초 구성원 중 한 명이 집필한 일반 개론서다. 그레이엄 하먼은 사변적 실재론 운동에 가장 중요한 미학적·윤리적·존재론적·정치적 주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하먼은 자신의 객체지향 존재론에 대한 요약을 제시하며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 동료들인 레이 브라지에, 이에인 해밀턴 그랜트 그리고 퀑탱 메이야수에 대한 비판적이면서도 균형 잡힌 평가를 제시한다. 다음과 같은 철학적 물음들이 네 개의 장을 함께 엮는다. ‘상관주의’란 정확히 무엇인가? 무엇이 사변적 실재론의 주적인가? 철학적 실재론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실재론에 더 이바지하는 것은 수학과 자연과학인가 아니면 미학을 포함하는 인지 활동에 대한 더 넓은 모형인가?

이 책은 사변적 실재론 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개념적 전개 둘 다를 서술하는 친절하고 상세한 입문서다. 각 절의 끝에 제시된 그레이엄 하먼의 연습문제들은 독자가 이해를 점검할 수 있는 유익한 보조 수단이 된다. 무엇보다 사변적 실재론이 현대 철학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활발한 분야라는 점을 이 책은 보여준다.


상세한 소개

21세기 기후재난 시대의 철학, 사변적 실재론

‘인류세’ 시대로 지칭되는 21세기에 두드러지게 부각되고 있는 철학사상적 조류는 신유물론으로 대표되는 ‘물질적 전회’와 더불어 사변적 실재론이 선도하는 ‘사변적 전회’임이 틀림없다. 사변적 실재론은 2007년 4월 런던에서 개최된 한 워크숍에서 레이 브라지에, 이에인 해밀턴 그랜트, 그레이엄 하먼 그리고 퀑탱 메이야수라는 네 명의 철학자에 의해 탄생하였고, 15여 년간 꾸준히 그 지적 영향력을 넓혀왔다.

최근의 철학에서 사변적 실재론과 신유물론을 필두로 인간과 독립적인 사물의 실재성과 물질성, 행위성을 강조하는 사상적 경향이 발흥한 현상, 즉 “실재론의 부상”이 나타난 까닭은 무엇일까? 그 이유는 포스트칸트주의 철학 이론들이 인간중심주의적인 기본 도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인류세 시대의 중대한 문명적 위기인 기후재난을 성찰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존재론적·인식론적·정치적·윤리적 물음들을 제기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기후재난으로 특징지어지는 인류세 시대는 팬데믹, 홍수, 폭염, 멸종 등을 일상의 조건으로 만듦으로써 인간이 자연의 주인도 아니고 세계가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피부로 느끼게 해주었다. 다시 말해서 일상에서 우리는 비인간의 실재성과 행위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런 현실이 세계는 인간에 대하여 또한 인간을 위하여 존재한다는 본질적으로 인간중심적인 관점인 상관주의에 반기를 드는 사변적 실재론이나 신유물론 철학이 전 세계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는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사변적’ ‘실재론’의 의미

하먼은 철학에서 사변적 실재론 운동이 시작된 지 한 세대 가까이가 지났기에 이제 그 운동의 성공과 한계를 평가할 적기가 되었다고 진단하면서 책을 시작한다. 최근에 사변적 실재론은 그것이 ‘정규’ 주제로서 수용된 철학계를 넘어서 미술, 건축, 문학, 고고학, 지리학, 역사학, 사회학, 체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요한 새로운 관점으로서 역할하고 있다. “사변적 실재론 같은 것은 존재하는가?”와 같은 비판자들의 ‘존재’ 시험을 통과한 지 오래다.

『사변적 실재론 입문』의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과 「서론」에서 그레이엄 하먼은 2007년 4월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 워크숍이 개최되기까지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려준다. 네 명의 사상가는 지금은 각자 자신의 입장을 좀 더 분명히 하게 되어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우산 아래 묶이기를 거부하는 인물(브라지에)도 있고 서로 간에 개인적 불화가 있기도 하지만, ‘상관주의’(correlationism)에 반대한다는 관점을 저서와 논문에서 확인하며 서로를 발견했던 초창기에는 “대륙철학을 그저 인간의 세계에의 접근보다는 오히려 세계 자체에의 관여로 되돌리려는 공동의 소망”(6쪽)을 갖고 있었다.

각기 다른 네 사람의 생각을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우산 아래 통합하는 공통분모는 ‘상관주의’에 대한 비판이다. ‘상관주의’란 “우리는 세계를 인간 사유의 상관물로서 언급할 수밖에 없고, 인간 사유와 세계는 서로 별개로 고려될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반실재론적’이고 ‘인간중심주의적’인 관점이다. 사변적 실재론의 최초 구성원 네 사람은 모두 “인간 사유와 독립적인 세계의 실재가 존재한다”라는 철학적 입장, 즉 ‘실재론’을 신봉한다.

임마누엘 칸트 이래로 200여 년 동안 대륙철학을 장악해온 것은 반실재론적이고 관념론적인 이른바 ‘포스트칸트주의’ 철학(독일 관념론, 현상학,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해체론 등)이었다. 사변적 실재론은 이러한 경향에 정면으로 반기를 드는 새로운 포스트휴머니즘 운동이다. 더욱이 사변적 실재론은 대륙철학에 의해 금기시되어온 것, 즉 ‘사변’에 기꺼이 관여하려는 ‘대담한’ 의지로 하나가 된다. 하먼의 설명에 따르면 “과거의 상식적 실재론들과는 달리”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자들은 “모두 직관에 반하거나 혹은 심지어 철저히 기묘한 듯 보이는 결론에 이른다는 의미에서 사변적이다.”(24쪽)

프로메테우스주의, 생기적 관념론, 객체지향 존재론, 사변적 유물론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자들 네 명은 여러 가지 점에서 서로 대립하는 상이한 사조들을 주장한다. 하먼은 각 사상가의 입장을 1~4장의 제목으로 삼는데, 그것은 브라지에의 ‘프로메테우스주의’(1장), 그랜트의 ‘생기적 관념론’(2장),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3장), 그리고 메이야수의 ‘사변적 유물론’(4장)이다. 한편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은 사변적 실재론이 탄생 이후 이와 같이 네 가지 사조로 즉시 분할되었다는 점을 이 운동의 한계라고 지적한 적이 있다. 그레이엄 하먼은 지젝의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다. 하먼이 단언하는 대로 “입장의 다양성은 언제나 사변적 실재론의 최대 강점”(419쪽)이었다.

‘사변적 실재론 개론서’를 집필할 사람을 추천해달라는 출판사의 요청을 받은 하먼이 스스로 과업을 맡겠다고 자청했다는 이야기로 서론은 시작된다. 하먼은 최초의 사변적 실재론자 네 명을 알파벳 순서에 따라 살피는데 한 사람에 한 장씩을 할애하였다. 네 개의 장은 일관된 체계를 갖고 있는데, 하먼은 먼저 브라지에, 그랜트, 자기 자신 그리고 메이야수가 2007년 골드스미스 워크숍에서 발표한 진술과 주장들을 요약하고, 네 사람의 철학의 핵심 논점들과 주요 저서들을 꼼꼼하게 살핀다. 그러고 나서 각 철학자의 최신 작업(이 책의 원서는 2018년에 출간되었다)을 검토하면서 그들이 현재는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를 설명한 후, 가까운 미래에 어디로 향할 것인지를 추측하며 각 장을 마무리한다. 이런 배치를 통해서 각 장에서는 브라지에, 그랜트, 하먼 그리고 메이야수의 간략한 지적 역사와 그들에 대한 철학적 평가가 제공된다.

이 책의 1~4장에서 하먼이 자세히 고찰하는 각 철학자의 주저는 브라지에의 『풀려난 허무』, 그랜트의 『셸링 이후의 자연철학』, 하먼의 『도구-존재』 그리고 메이야수의 『유한성 이후』이다. 하먼은 이 책들의 내용을 요약하고 자신의 비판적 견해를 덧붙인다. 이 과정에서 하먼은 자기 자신과 다른 사상가들의 차이뿐만 아니라 나머지 세 사람이 서로 합의하고 이견을 드러내는 논점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논점들이 철학사에서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를 능수능란하게 서술한다.

이 책의 결론에서 하먼은, 사변적 실재론을 구성한 실재론들의 다양성이야말로 “내가 그 집단이 우호적인 논의를 위한 토론의 장으로서 현존했던 시절을 그리워하는 주된 이유다”라고 밝힌다. 하먼은 결론에서 이들 네 명의 사변적 실재론 사상가가 하위집단으로 분할될 수 있는 두 가지 축을 제시하며, 사변적 실재론 사조들이 수렴하고 발산하는 지점들을 정리한다.

하먼의 의해 제시된 그 두 개의 축은 (1) 과학과 철학의 관계, 그리고 (2) 사유와 세계의 통약 불가능성과 관련되어 있다. 첫 번째 축을 따라 살펴보면, 브라지에와 메이야수는 인간의 사유와 독립적인 실재에 관한 지식을 과학 혹은 수학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는 과학주의적 입장 혹은 수학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반면에 하먼과 그랜트는 그런 실재에 관한 지식은 직접 획득할 수 없다는 일종의 형이상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두 번째 축을 따라 살펴보면, 그랜트와 메이야수는 실재와 그 이미지 사이에 ‘연속성’이 존재한다고 간주하는 반면에 브라지에와 하먼은 실재와 그 이미지 사이에는 ‘불연속성’이 존재하기에 ‘위험한 도약’을 시도할 수밖에 없다고 여긴다. 끝으로 하먼은 “이 책의 젊은 세대 독자들에게 다양한 사변적 실재론 사조를 중요하게 만든 것을 이해한 다음에 마침내 이들 사조를 대체해보라고 권유”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이 책은 내부자만이 들려줄 수 있는 통찰과 세부사항들로 가득하며,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주제를 처음 접하거나 들어본 사람들이 사변적 실재론에 입문하는 데 적합한 개론서다. 게다가 이 책은 서론과 결론을 제외한 각 장에서 각 절 끝에 하먼이 마련한 연습문제들을 제시하고 있기에 사변적 실재론을 가르치려는 사람들과 배우려는 사람들, 토론하려는 사람들 모두에게 유용하고 믿음직한 교과서로 활용될 수 있다. 사변적 실재론과 신유물론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의 일독을 권한다.


지은이

그레이엄 하먼 Graham Harman, 1968~

미합중국 아이오와 출신의 철학자이며 현재 로스엔젤레스 소재 남가주 건축대학교(SCI-Arc) 철학 특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9년에 시카고의 드폴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2000년부터 최근까지 카이로 소재 아메리칸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현대 철학의 사변적 실재론 운동을 선도한 핵심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이데거와 라투르를 기반으로 하여 객체의 형이상학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발전시킨 객체지향존재론(OOO) 덕분에 『아트 리뷰』에 의해 세계 예술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 100인 중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존재론 분야 파올로 보찌(Paolo Bozzi) 상의 2022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 주요 저서
『도구-존재 : 하이데거와 객체의 형이상학』(Tool-Being : Heidegger and the Metaphysics of Objects, 2002)
『네트워크의 군주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철학』(Prince of Networks : Bruno Latour and Metaphysics, 2009; 갈무리, 2019)
『쿼드러플 오브젝트』(The Quadruple Object, 2011; 현실문화, 2019)
『기이한 실재론 : 러브크래프트와 철학』(Weird Realism : Lovecraft and Philosophy, 2012)
『브뤼노 라투르 : 정치적인 것을 다시 회집하기』(Bruno Latour : Reassembling the Political, 2014; 갈무리, 2021)
『비유물론 : 객체와 사회 이론』(Immaterialism : Objects and Social Theory, 2016 ; 갈무리, 2020)
『객체지향 존재론 : 새로운 만물 이론』(Object-Oriented Ontology : A New Theory of Everything, 2018)
『사변적 실재론 입문』(Speculative Realism : An Introduction, 2018; 갈무리, 2023)
『예술과 객체』(Art and Objects, 2020; 갈무리, 2022)
『객체지향 건축은 존재하는가』(Is There an Object-Oriented Architecture, 2020)
『건축과 객체』(Architecture and Objects, 2022 ; 갈무리, 근간)


옮긴이

김효진 Kim Hyojin, 1962~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였으며 인류세 기후변화와 세계관의 변천사에 관심이 많다. 옮긴 책으로 『네트워크의 군주』,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객체들의 민주주의』, 『예술과 객체』,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에일리언 현상학』 등이 있다.


추천사

우리 시대의 주목할 만한 철학자가 쓴 기본 안내서. 이 책은 21세기 최초의 주요한 철학적 운동에 대한 애호자와 초심자 모두를 교육하고 즐겁게 할 것이다. ― 티머시 모턴, 라이스대학교 교수

하먼은 사변적 실재론의 핵심 논쟁의 전개 상황을 명료하게 개관한다. 하먼은 사변적 실재론의 계보학을 재구성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존재론을 더 큰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그 존재론도 놀랍도록 간결하게 소개한다. ― 마르쿠스 가브리엘, 본대학교 교수

[사변적 실재론]에 관한 점증하는 문헌에 기여하는 독특한 책이자 … 학부생에서 강단 외부의 호기심이 많은 독자에 이르기까지 그 주제에 대한 효과적이고 미묘한 입문서를 찾고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한 대단히 믿음직한 텍스트. ― 톰 스패로우, 『현상학의 종언』 지은이


책 속에서

2007년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철학 운동을 낳은 워크숍이 개최된 이후로 거의 한 세대가 지나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지금까지 드러난 그 운동의 성공과 한계를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신흥 청년 세대의 철학적 작업과 대조할 수 있게 되었다. —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6쪽

최초의 SR 집단은 그다지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았고, 오늘날 그 구성원 중 일부 사이에서는 철학적 견해가 뚜렷이 불일치할뿐더러 심지어 개인적 불화도 존재한다. ... 내가 알고 있는 한에서 메이야수가 두 번째 모임에 참석하지 않은 이유는 그가 SR의 명칭에 내장된 실재론보다 자신의 입장에 내장된 유물론을 강조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훨씬 더 큰 한 가지 쟁점은 SR의 브라지에 진영과 나 자신의 진영 사이에 극명한 대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오늘날 브라지에는 자신이 사실상 ‘사변적 실재론’이라는 명칭을 고안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명칭조차도 거부하게 되었다. — 서론, 16쪽

브라지에가 과학의 인지적 우월성을 그토록 확신한다면, 그는 소크라테스가 언제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 자연주의적인 유사지식에 공헌하기 위해 소크라테스적 철학을 강탈하기보다는 오히려 과학에서 경력을 쌓음으로써 자신의 관심사를 더 잘 충족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1장 프로메테우스주의, 62~63쪽

문제는 그랜트, 던햄, 왓슨이 실재는 마음-의존성을 뜻한다는 점을 수반하는 입장으로서의 ‘관념론’의 통상적인 의미를 제거하기를 원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이다. 우리는 관념 역시 실재로 여겨져야 한다는 그들의 주장에 경의를 표할 수 있지만, 그런 경우에는 ‘관념론’이라는 용어보다 ‘평평한 존재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 충분하기 마련이다. — 2장 생기론적 관념론, 204쪽

근대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유와 세계의 구분은 객체와 관계의 구분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많은 근대주의적(그리고 ‘포스트’-근대주의적) 관찰자가 자신이 생기 없는 물질의 당혹스러운 의인화로 잘못 여기는 것에 대하여 본능적으로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바로 OOO에서 드러나는 두드러지게 비근대적인 이런 감각이다. — 3장 객체지향 존재론, 245쪽

메이야수의 경우에 도대체 아무 이유도 없이 생명이 물질에서 창발했다는 것과 사유가 생명에서 창발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렇게 해서 단 하나의 가능한 마지막 창발, 즉 현존하는 인간 사유의 세계에서 비롯되는 정의와 잠재적 신의 창발이 남게 된다. 몹시 불길하게도 메이야수는 이런 일이 언젠가 일어나리라고 전혀 보증할 수 없다고 덧붙인다. — 4장 사변적 유물론, 395쪽

새로운 지적 조류의 경우에 종종 그렇듯이 사변적 실재론의 최초 독자층은 주로 젊은이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인쇄물로 응대한 최초의 기성세대 사상가 중 한 사람은 새로운 경향에 전형적으로 주의를 게을리하지 않는 슬라보예 지젝이었다. — 결론 : 사변적 실재론의 두 가지 축, 418쪽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6
서론 14

1장 프로메테우스주의 27
1. 골드스미스에서의 브라지에 29
2. 브라지에의 허무주의 40
3. 앞에 놓인 길 95

2장 생기론적 관념론 140
1. 골드스미스에서의 그랜트 142
2. 그랜트의 『셸링 이후의 자연철학』 157
3. 관념론의 한 가지 새로운 의미 189

3장 객체지향 존재론 235
1. 골드스미스에서의 OOO 236
2. 물러서 있는 것 269
3. 객체와 그 성질들 280
4. 대리적 인과관계 285
5. 미학의 매우 중요한 지위 297

4장 사변적 유물론 313
1. 골드스미스에서의 메이야수 315
2. 메이야수의 『유한성 이후』 341
3. 『신의 비현존』을 훑어보기 391

결론 : 사변적 실재론의 두 가지 축 418

참고문헌 425
인명 찾아보기 434
용어 찾아보기 440


책 정보

2023.1.16 출간 l 130×188mm, 무선제본 l 카이로스총서91, Mens
정가 28,000원 | 쪽수 448쪽 | ISBN 9788961953122 93100
도서분류 1. 현대철학 2. 사변적 실재론 3. 객체지향 철학 4. 미학 5. 문화이론


북카드

바로가기


구입처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보도자료
전체 299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99
<신간> 『기준 없이』 | 스티븐 샤비로 지음 | 이문교 옮김 | 2024.2.24
갈무리 | 2024.02.29 | 추천 0 | 조회 151
갈무리 2024.02.29 0 151
298
<신간> 『예술과 공통장』 | 권범철 지음 | 2024.02.06
갈무리 | 2024.02.05 | 추천 0 | 조회 263
갈무리 2024.02.05 0 263
297
<신간>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 문병호·남승석 지음 | 2024.1.24
갈무리 | 2024.01.29 | 추천 0 | 조회 283
갈무리 2024.01.29 0 283
296
『초월과 자기-초월』 | 메롤드 웨스트폴 지음 | 김동규 옮김 | 2023.12.29
갈무리 | 2023.12.30 | 추천 0 | 조회 393
갈무리 2023.12.30 0 393
295
『대담 : 1972~1990』 | 질 들뢰즈 지음 | 신지영 옮김 | 2023.11.30
갈무리 | 2023.12.04 | 추천 0 | 조회 410
갈무리 2023.12.04 0 410
294
『자기생성과 인지』 |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 정현주 옮김 | 2023.11.3
갈무리 | 2023.11.06 | 추천 0 | 조회 430
갈무리 2023.11.06 0 430
293
『#가속하라』 | 로빈 맥케이·아르멘 아바네시안 엮음 | 김효진 옮김 | 2023.09.22
갈무리 | 2023.09.26 | 추천 0 | 조회 755
갈무리 2023.09.26 0 755
292
『동아시아 영화도시를 걷는 여성들』 | 남승석 지음 | 2023.08.30
갈무리 | 2023.08.29 | 추천 0 | 조회 999
갈무리 2023.08.29 0 999
291
『건축과 객체』 | 그레이엄 하먼 지음 | 김효진 옮김 | 2023.07.20
갈무리 | 2023.07.23 | 추천 0 | 조회 727
갈무리 2023.07.23 0 727
290
『문두스』 | 김종영 지음 | 2023.06.23
갈무리 | 2023.06.27 | 추천 0 | 조회 685
갈무리 2023.06.27 0 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