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 | 김만수 지음 | 2020.12.10

카이로스
작성자
갈무리
작성일
2020-12-15 22:09
조회
1198


보도자료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

The Encounter with Carl von Clausewitz : The Reception of On War and Clausewitz in Korea

전쟁론과 클라우제비츠는 한국에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국내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권위자 김만수가
한국의 클라우제비츠 수용 60년을 결산하며
『전쟁론』에 대한 모든 오해에 답한다.
이 책에 따르면 『전쟁론』은 설명문이다.
전쟁이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계속’이라는 명제는 정치를 계속하려면 전쟁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다.

『전쟁론』은 논설문으로 오해되어 왔다.
이 책은 그 오해를 바로잡고자 한다.


지은이 김만수 | 정가 39,000원 | 쪽수 740쪽 | 출판일 2020년 12월 10일
판형 신국판 (152*225) | 출판사 도서출판 갈무리 | 총서명 Virtus, 카이로스총서 69
ISBN 978-89-6195-254-5 93340 | CIP제어번호 CIP2020050519
도서분류 1. 정치학 2. 경제학 3. 군사학 4. 외교학
보도자료 클라우제비츠와의마주침-보도자료-f.hwp 클라우제비츠와의마주침-보도자료-f.pdf

인터넷서점 바로 가기 :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반디앤루니스 영풍문고


『전쟁론』을 이해하는 데는 프랑스혁명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프랑스혁명은 세계사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유럽에서 프랑스혁명 전후의 시기는 (대략 말하면) 군주정에서 공화정으로, 신분사회에서 평등사회로, 절대주의에서 민주주의로, 봉건주의에서 자본주의로 근본적인 변화를 겪으면서 격렬하게 요동치는 시대였다. 『전쟁론』은 프랑스혁명, 혁명전쟁, 나폴레옹전쟁을 배경으로 탄생했다.

― ‘독자에게 드리는 글’ 중에서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 간략한 소개

『전쟁론』은 프로이센의 전쟁 이론가인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가 쓴 책으로 1832~1834년에 세 권으로 출판되었다. 『전쟁론』은 명실상부 정치사상, 국제정치, 전쟁철학, 군사학 분야의 최고의 고전이다. 이 책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을 쓴 김만수는 『전쟁론』 세 권뿐만 아니라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의 『저작집』 세 권의 독일어 원전 초판을 국내 최초로 완역한 국내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권위자이다.

이 책에 따르면 『전쟁론』은 설명문이지, 논설문이 아니다. 그런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은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계속’이라는 명제는 정치를 계속하려면 전쟁을 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전쟁론』을 논설문으로 읽을 때 이런 오해가 발생한다.

클라우제비츠는 『전쟁론』에서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전쟁론』이 탄생하게 된 역사정치적 배경은 무엇인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은 학계에서, 특히 한국의 학계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가? 한국에서는 클라우제비츠를 누가 언제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해했는가? 전쟁의 양상이 클라우제비츠의 시대와는 많은 부분 달라진 우리 시대에 『전쟁론』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까?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에서 저자는 방대한 문헌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서 이러한 질문들에 답한다. 이 책은 대략 지난 60년 동안(1956~2018년) 클라우제비츠와 『전쟁론』이 한국에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수용, 유포, 계승) 연구하고 정리한다.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 상세한 소개

태초에 프랑스혁명이 있었다

『전쟁론』이 설명문이라면 『전쟁론』은 무엇을 설명하는 책인가? 이 책에 따르면『전쟁론』을 이해하는 데는 프랑스혁명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전쟁론』은 프랑스혁명, 혁명전쟁, 나폴레옹전쟁을 배경으로 탄생했다. 혁명에 반대하는 유럽 앙시앵 레짐의 군주들이 프랑스에 전쟁을 선포했고, 프랑스는 공화정을 수호하려고 전쟁을 수행했다.

프랑스혁명 이전 18세기의 프로이센은 생존의 안전을 확보하려고 투쟁했다. 유럽의 4대 강국(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러시아) 체제에서 살아남으려고 오스트리아와 7년전쟁을 벌였다. 프랑스혁명을 전후한 전쟁, 즉 주로 18세기 중반의 7년전쟁과 19세기 전후의 혁명전쟁과 나폴레옹전쟁을 연구, 관찰, 경험하고 전쟁의 현상, 성질, 변화를 분석하여 전쟁의 본질을 밝힌(설명한) 책이 『전쟁론』이다.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의 저자에 따르면 서구세계는 지난 160년 이상(1830년대~1990년대) 『전쟁론』을 ‘논설문’으로 오해하고 왜곡하였다. 반면 마르크스주의는 『전쟁론』을 올바르게 이해했다.

도처에서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지금 한국은 ‘전쟁’ 중이다. ‘코로나 사태’로 1년 가까이 수많은 노동자와 자영업자들이 생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 와중에 또 다른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검찰을 둘러싼 최근의 논란을 예로 들어보자. 추미애와 윤석열 사이에, 정부와 검찰 사이에, 선출된 권력과 ‘시험’ 권력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전쟁이 전 국민에게 실시간으로 중계되고 있다. “법적 분쟁은 평상시의 ‘전쟁’이다”라고 말한 클라우제비츠의 말이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1960년의 4‧19혁명, 1970~1980년대 반유신투쟁과 민주화운동, 1980년의 광주민중항쟁, 1987년의 민주화대투쟁, 2008년의 촛불시위, 2016~2017년의 촛불혁명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민중과 시민이 싸워온 ‘전쟁’이 있다. 남북관계는 어떤가? 대외적으로는 2018년에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있었지만, 현재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는 다시 교착상태에 빠졌다. 우리는 중국과 미국의 무역 ‘전쟁’ 사이에 끼어 있다. 국민도, 남북한도, 미국과 중국도, 한국 정치도 ‘전쟁’ 중이다.

전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와 같은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조망할 수 있을까? 지금 한국 사회의 ‘전쟁’ 현상을 우리는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가? 이 책의 저자 김만수에 따르면 『전쟁론』에서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그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는 우선 『전쟁론』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이 책은 주장한다.

『전쟁론』은 프랑스대혁명, 혁명전쟁, 나폴레옹전쟁을 배경으로 탄생했는데, 이런 전쟁들은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전쟁’과 성격이 다르고 더 큰 전쟁이었다. 혁명과 전쟁, 내전과 국가 간의 전쟁이 같이 일어났다. 이 책에 따르면 프랑스대혁명, 혁명전쟁, 나폴레옹전쟁을 연구한 후에 클라우제비츠는 『전쟁론』을 집필했고, 전쟁을 움직이는 힘이 ‘정치’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와 같은 연구의 끝에 탄생한 말이 “전쟁은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계속이고, 전쟁은 정치의 수단이다.”라는 유명한 명제이다.

『전쟁론』은 지난 60년간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또 오해되어 왔는가?

한국에서는 클라우제비츠 연구가 시작된 지 60년이 지났다.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은 한국 사회가 『전쟁론』과 클라우제비츠를 어떻게 독해해 왔고 어떤 점들을 아직 이해하지 못했는지, 무엇을 오해했는지에 천착하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2016년 『전쟁론』 전 3권 전면개정완역판의 출판이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다. 저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대략 지난 60년 동안(1956~2018년) 『전쟁론』과 클라우제비츠가 한국에 어떻게 수용, 유포, 계승되었는지 연구한다. 클라우제비츠와 관련된 텍스트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각 텍스트의 구조와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현황과 수준을 정리한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전쟁론』 번역의 많은 오류를 지적하고 있다. 이 책에 따르면 『전쟁론』의 일어 중역과 영어 중역에서 생기는 오역이 상당히 많은데, 이런 오역은 『전쟁론』을 오해하게 만들었다. 『전쟁론』 자체의 번역뿐만 아니라 『전쟁론』과 관련된 많은 책들이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영어번역인데, 그래서 이 영어번역들이 인용하는 『전쟁론』은 자동으로 영어중역이 되고, 여기에서 생기는 오역이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저자가 보기에는 오역의 문제 다음으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이론에 관한 오해와 왜곡의 문제가 있다. 저자에 따르면 서구세계에서도 『전쟁론』이나 클라우제비츠를 오해하고 왜곡한 해석이 많은데, 우리나라에서 그런 해석을 받아들여 지금까지 『전쟁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서 국내 많은 연구자들은 “클라우제비츠의 절대전쟁을 관념상의 전쟁으로 이해한다.”(680쪽) 그러나 이 책에 따르면 “클라우제비츠는 절대전쟁의 개념을 ‘최근의 전쟁 현상’에서 끌어냈고, 클라우제비츠에게 ‘최근의 전쟁’은 프랑스혁명전쟁과 나폴레옹전쟁이었다. 또 하나의 예로서 저자는 국내 많은 연구자들이 클라우제비츠의 Dreifaltigkeit를 ‘삼위일체’로 새기는 것이 문제라고 본다. 이것은 번역상에서도 오류이고, 클라우제비츠의 이론 체계에 비추어보았을 때도 오류이기 때문에 ‘삼중성’으로 새겨야 한다고 이 책은 말한다.(693쪽 이하)

클라우제비츠와 『전쟁론』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보물창고와 같은 책

이 책을 통해 저자는 ‘20세기 한국문학사’ 또는 ‘20세기 한국건축사’처럼 ‘한국 클라우제비츠 60년 연구사’를 의도했다. 저자 김만수는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의 거의 모든 한국어 번역서들을 비평하였고, 『전쟁론』을 중심으로 한 국내외의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저작, 논문, 서평 등 다양한 연구물들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저자는 또 모든 길목에 상세한 참고문헌을 밝혀주었다.

따라서 『클라우제비츠와의 마주침』은 군사학, 국제정치학 분야의 연구자는 물론이고 클라우제비츠와 『전쟁론』에 관심이 있는 독자에게는 보물창고와 같은 책이다. 이 책을 통해서 독자는 『전쟁론』이라는 고전, 클라우제비츠라는 사상가가 60년이라는 시간 속에서 어떤 좌표들을 거치며 움직여 왔는지, 현재는 어디에 와있는지를 조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돈된 연구사는 클라우제비츠의 치열한 체험과 연구의 성과를 화석화하지 않고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전쟁론』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지를 독자가 자유롭게 상상할 수 있게끔 돕는 든든한 발판이 될 것이다.

각 부와 장의 내용 요약

이 책은 총 4부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저작집』 번역’에서는 클라우제비츠의 『저작집』 세 권(『전쟁론』과 그 「부록」)의 우리말 번역을 살펴보고 있다.

제2부 ‘『전쟁론』과 관련된 번역’은 『전쟁론』 이외에 『전쟁론』과 관련된 여러 번역을 살펴보고, 이 번역이 『전쟁론』을 어떻게 이해하거나 오해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또한 클라우제비츠 연구에서 번역해야 할 만한 저서와 논문을 언급했다.

제3부 ‘한국 저자들의 클라우제비츠 연구’는 한국의 연구자들이 『전쟁론』과 클라우제비츠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분석했다. 연구자별로, 주제별로, 시기별로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를 살펴보았다. 전쟁을 설명하고 분석하는데 클라우제비츠를 어떻게 이용하고 적용했는지도 살펴보았다. 제3부는 한국 저자의 저술을 살펴보고 제2부는 외국 저자의 저술을 (그래서 번역을) 살펴본다는 점에서 대비된다. 제3부 끝에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현주소’를 정리했다.

제4부 ‘김만수의 클라우제비츠 연구’는 제3부의 분석 결과로 나온 글이다. 달리 말해, 제4부는 애초에 이 책의 구상에 없었다. 제4부에서는 우리나라의 연구자들이 클라우제비츠에 관해 오해하고 있는 점이나 불분명하게 이해하고 있는 점에 대한 저자의 분석과 해석을 실었다. 이 해석으로 저자는 『전쟁론』과 클라우제비츠를 올바르게 이해할 단초를 마련했다.

제2부~제4부 끝에 각 부와 관련되는 글을 ‘여담’으로 실었다. 3개의 여담에서는 마르크스, 헤겔, 박정희를 직접 다루지도 않고 본격적으로 논의하지도 않는다. 짧고 간략하게 그들과 클라우제비츠의 관련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래서 ‘여담’이다. ‘여담 - 클라우제비츠와 박정희’는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이론이 ‘인물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줄 것이다.


지은이 소개

김만수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1987년부터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에서 13년 동안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철학 등을 공부하고 사회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어 1년 6개월 동안 독일 보훔대학교 한국학과 객원교수로 독일 학생들에게 한국 정치와 경제에 대해 강의했다. 귀국 후 대전대, 홍익대, 배재대, 고려대, 건양대 학부와 대전대 대학원에서 사회학, 경제학, 정치경제학, 군사학 등을 강의했다.
저서로 『리영희 — 살아있는 신화』(나남출판, 2003년)와 『실업사회』(갈무리, 2004년)가 있고, 20여 편의 논문을 우리말과 독일어로 발표했다. 2003년부터 대전대학교 군사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연구에 전념하여 『전쟁론』 독일어 원전(제2판, 1853년)을 완역, 2006~2009년에 걸쳐 세 권으로 출간했다. 2016년에는 『전쟁론』 독일어 원전 초판(1832~1834년)을 완역 출간하고(2006~2009년 번역의 전면개정판), 『전쟁론』을 해설한 저서 『전쟁론 강의』를 출간했다. 2018년에는 『전쟁론』의 ‘부록’ 독일어 원전 초판(1834년)을 완역하고 해설한 『전쟁이란 무엇인가』를 출간했다.
『전쟁이란 무엇인가』의 옮긴이 소개에서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 60년’을 결산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이 책이 바로 그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과 교수.


책 속에서 : 전쟁론과 클라우제비츠는 한국에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프랑스혁명을 전후한 전쟁, 즉 주로 18세기 중반의 7년전쟁과 19세기 전후의 혁명전쟁과 나폴레옹전쟁을 연구, 관찰, 경험하고 전쟁의 현상, 성질, 변화를 분석하여 전쟁의 본질을 밝힌(설명한) 책이 『전쟁론』이다.

― 독자에게 드리는 글, 6쪽

클라우제비츠의 철학은 사고방법이다. 그의 철학에 영향을 준 키제베터에 따르면, 논리적 진리는 관념과 사고의 일치이고, 물질적 진리는 관념과 대상의 일치이다. 논리적 진리는 물질적 진리의 불가결의 조건이다(416쪽). 논리가 클라우제비츠 이론에서 차지하는 특별한 역할을 인식하면 『전쟁론』에 대해 그리고 『전쟁론』의 토대를 이루는 역사관에 대해 새로운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 제1부 제1장 직접 관련된 번역, 65쪽

클라우제비츠의 우주는 전쟁이 국가(정부)에 의해 수행된다는 가정에 기초를 두고 있다. 국가는 1648년의 베스트팔렌조약 이후 현대의 발명품이다. 그 이전의 전쟁(귀족들 간의 파벌싸움, 중세의 농민전쟁, 용병대장이 사리사욕을 채우는 노략질, 고대의 전쟁, 부족사회의 전쟁)에는 국가가 없거나 군대와 국민의 구분이 존재하지 않았다.

― 제1부 제2장 간접 관련된 번역, 151쪽

아프가니스탄에서 수행한 군사작전이나 ‘이라크 자유’ 작전은 전쟁방식이 아니라 전투방식이었다. 전쟁은 정치적 목표에, 전투는 군사력 파괴에 초점을 맞춘다. 미군의 전쟁원칙은 본질적으로 전투원칙이고 작전원칙이다. 클라우제비츠가 말한 바 있는 전쟁의 객관적 본질(보편적으로 타당한 것들)과 주관적 본질(특정 시공간에서만 사실인 것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제2부 3장 기타 번역, 211쪽

푸코는 ‘전쟁이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연속’이라는 클라우제비츠의 명제를 뒤집어서 자신의 ‘전쟁’ 모델을 설명한다. 푸코에 따르면 ‘정치는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전쟁의 계속이다.’ 정치권력은 ‘조용한 전쟁’으로 이 힘의 관계를 제도와 경제적 불평등에, 심지어 각자의 신체에 계속 기입해 넣으려고 한다. 정치란 전쟁에서 드러난 힘의 불균형을 승인하고 갱신하는 것이다. 정치투쟁, 권력과 관련된 투쟁, 힘 관계의 변경 등의 모든 것은 정치체제에서 전쟁의 계속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최종 결정은 전쟁에서, 즉 무기가 최후의 판관이 되는 힘겨루기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34~35쪽).

― 제2부 제3장 기타 번역, 269쪽

이 틀로 인해 헤어베르크-로테는 『전쟁론』 해석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을 완전히 ‘제거’했다. 『전쟁론』은 18세기 프리드리히 대왕의 전쟁과 19세기 초 나폴레옹의 전쟁을 주로 다루고 있는데, 헤어베르크-로테는 그의 『전쟁론』 분석에서 프리드리히 대왕의 전쟁을 완전히 배제한 것이다. 이것은 『전쟁론』의 반쪽짜리 해석이 아닌가?

― 제2부 제4장 번역해야 할 저서와 논문, 283쪽

전쟁의 정치적 목적은 합당한가? 전쟁은 너무나 비극적이기 때문에 정치가와 외교관의 수중에만 맡길 수 없다. 특히 그들의 정치적 경륜의 실패로 전쟁의 비극을 초래케 한 정치가와 외교관의 수중에는 더더욱 맡길 수 없다. 브로디는 ‘왜 싸우는가 하는 문제가 수단의 고려를 지배해야 한다.’는 단순명제를 말했는데, 브로디가 이 명제를 ‘싸우기 위해 합당한 정치적 목적을 가져야 한다.’는 또 하나의 중요한 명제로 발전시켰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402쪽)

― 제3부 제1장 직접 관련된 연구, 350쪽

클라우제비츠는 전기에 관한 에르만의 이론을 접하고 진자/자석의 운동을 삼성체에 적용하고 힘의 중심점을 전투이론에 응용했다. 뉴턴의 역학, 자기학, 전기역학 등은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철학을 구성하는데 이바지했고, 전자기학의 저항과 마찰의 개념은 『전쟁론』에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 제3부 제1장 직접 관련 연구, 422쪽

현대 국제정치의 실천의 장에서 이념형은 민족국가이고, 보편적 계급이나 세계 제국적 현실은 이념형이 될 수 없다. 현대의 핵문명에서는 핵의 출현에 의해 핵전쟁, 인민전쟁, 통상전쟁이라는 이질적인 폭력수단이 상대적인 독립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아롱은 클라우제비츠의 삼색체(인민, 군대의 지도자, 국가의 통치자)를 모택동 전통의 인민전쟁론, 서방의 핵억지론, 전체주의적 소비에트로 상징적인 표상화를 시킬 수 있었다.

― 제3부 제2장 간접 관련된 연구, 490쪽

클라우제비츠의 Dreifaltigkeit를 삼위일체로 번역하는 것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삼위일체가 아니라 삼중성으로 번역하면, 삼위일체 전쟁이든 비삼위일체 전쟁이든 모든 전쟁을 클라우제비츠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제3부 제2장 간접 관련된 연구, 571쪽

‘전쟁은 다른 수단으로 하는 정치의 계속이다.’ 우리나라 연구자들은 거의 전부 『전쟁론』 제1편 제1장의 이 유명한 명제를 정치의 계속이 아니라 ‘정책’의 계속이라고 완고하게 고집하고 있다. ... 마르크스주의에서 Politik을 정치라고 번역하기 때문에 군인 출신 연구자들이 대부분 ‘정치’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 제4부 제2장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몇 가지 쟁점, 685쪽


목차

제1부 『저작집』 번역 19
   제1장 『전쟁론』 번역 21
   제2장 「부록」의 번역 37

제2부 『전쟁론』과 관련된 번역 41
   제1장 직접 관련된 번역 43
   제2장 간접 관련된 번역 127
   제3장 기타 번역 191
   제4장 번역해야 할 저서와 논문 271
   여담 ― 클라우제비츠와 마르크스 287

제3부 한국 저자들의 클라우제비츠 연구 295
   제1장 직접 관련된 연구 297
   제2장 간접 관련된 연구 463
   제3장 기타 연구 645
   제4장 서평 651
   여담 ― 클라우제비츠와 헤겔 659

제4부 김만수의 클라우제비츠 연구 667
   제1장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시기구분 669
   제2장 한국 클라우제비츠 연구의 몇 가지 쟁점 673
   여담 ― 클라우제비츠와 박정희 703

참고문헌 707
찾아보기 713


김만수의 저서와 번역서

『전쟁이란 무엇인가』(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지음, 김만수 옮김, 갈무리, 2018)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독일어 원전 초판 제3권의 뒷부분에 있는 ‘부록’ 전체를 국내 최초로 완역한 것이다.이 책은 클라우제비츠가 프로이센의 왕세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1795~1861)에게 한 강의이며, 전쟁, 전략, 전술의 핵심과 정수만 모아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은 많은 사람의 오해와는 달리 『전쟁론』의 요약이 아니다. 이 책은 『전쟁론』과 다른 독립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물론 이 책의 내용은 『전쟁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전쟁론』 전면완역개정판(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지음, 김만수 옮김, 갈무리, 2016)

『전쟁론』은 프로이센의 전쟁 이론가인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가 쓴 책으로 1832~1834년에 세 권으로 출판되었다. 서양의 정치사상, 국제정치, 전쟁철학, 군사학 분야의 고전으로 인정받고 있다. 클라우제비츠가 살아있을 당시에 유행한 이른바 실증적인 전쟁 이론을 비판했다는 점에서, 즉 전쟁을 물리적, 기하학적인 요소에서 ‘해방’시켰다는 점에서, 그래서 전쟁을 수행하는 인간의 정신과 심리를 고려한 전쟁 이론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혁명적인 저서이다.

『전쟁론 강의』(김만수 지음, 갈무리, 2016)

『전쟁론』의 역자인 김만수가 『전쟁론』의 구조와 핵심 내용을 해부하는 책이다. 150여 개의 그림과 도표로 일목요연하게 해설하고 있으며, 125개 장의 내적인 연관성을 밝힌다. 『전쟁론』 여덟 개 편의 유기적인 관계를 밝히고 전체의 핵심을 하나의 그림으로 만들어 설명한다. 또한 여러 논문을 통해 『전쟁론』에 관한 이해의 외연을 확장시킨다. 해설, 재구성, 관련 논문, 참고 문헌의 4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업사회』(김만수 지음, 갈무리, 2004)

높은 실업률이 일시적인 구조조정이나 경제정책의 문제가 아니라, 자본의 '고도화 경향'의 필연적인 결과임을 주장한다. 자본주의 내 경쟁의 양상으로 특정 자본이 집적되면 이어서 자본의 집중 현상이 일어난다. (M&A 등으로 예를 들 수 있는) 자본의 집중은 일반적으로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를 가져온다. 즉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중 가변자본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지은이는 이 대목을 실증하기 위해 40년에 걸친 각 기업부문의 자본구성을 자료삼아 통계적 분석을 시도했다. 결국 가변가본이 감소하므로 인원조정과 임금삭감의 노력은 필연적인 것이 된다.


함께 보면 좋은 갈무리 도서

『개념무기들』(조정환 지음, 갈무리, 2020)

이 책은 들뢰즈의 실천철학 속에서, 위에서의 좌파정치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소수정치적 섭정이라는 실천방략을 모색한다. 아래로부터의 섭정이란 다중의 소수정치가 좌파정치를 전략적으로 규정하고 좌파정치가 소수정치의 전술단위로서 기능하는 관계 구도에 대한 정치적 상상이다. 이 책은 동역학과 운동학의 결합을 사유하되 동역학을 중심으로 운동학을 사유하는 들뢰즈의 실천철학이 우리에게 이러한 정치적 상상을 밀고 나갈 다양하고 유효한 개념무기들을 제공함을 명료한 언어로 밝혀 보여준다.

『절대민주주의』(조정환 지음, 갈무리, 2017)

군주제적 대의민주주의에서 대의 정치가들이 전유하고 향유해온 정치지대는 다중의 보편적 기본소득으로 재전유되고 사회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절대민주주의는 대의민주주의를 민주화하고, 직접민주주의를 민주화하며, 집회민주주의와 일상민주주의를 민주화하는 힘으로 기능할 것이다. 모든 사람의 절대적 구성역량과 헌법의지에 의한 모든 민주주의의 민주화, 이것이 촛불다중혁명이 가리키는 이정표다.

『대테러전쟁 주식회사』(솔로몬 휴즈 지음, 김정연‧이도훈 옮김, 갈무리, 2016)

현대 전쟁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 전반부는 대테러전쟁의 발단 단계로서 주로 민간 업체들이 정치인들을 설득해 국가의 군사 및 안보 영역을 사영화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적나라하게 드러내 보여주는 안보산업복합체의 출현을 보면서, 테러 방지, 국민 보호, 공공 안전 수호, 안보 자주권 같은 허울 좋은 문구들 이면에 어떤 이해관계들이 도사리고 있는지 예감할 수 있다. 테러에 대한 전쟁의 기원을 밝히고 그것의 진정한 목적이 무엇인가를 보여 준다.
전체 299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91
『사변적 실재론 입문』 | 그레이엄 하먼 지음 | 김효진 옮김 | 2023.1.16
갈무리 | 2023.01.16 | 추천 0 | 조회 1169
갈무리 2023.01.16 0 1169
90
『포스트휴머니즘의 세 흐름』 | 이동신 지음 | 2022.12.22
갈무리 | 2022.12.26 | 추천 0 | 조회 1034
갈무리 2022.12.26 0 1034
89
『광장과 젠더』 | 소영현 지음 | 2022.11.29
갈무리 | 2022.11.30 | 추천 0 | 조회 781
갈무리 2022.11.30 0 781
88
『사회해방과 국가의 재발명』 | 보아벤투라 드 소우자 산투스 지음 | 안태환 옮김 | 2022.11.18
갈무리 | 2022.11.16 | 추천 0 | 조회 945
갈무리 2022.11.16 0 945
87
『탈인지』 | 스티븐 샤비로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2.10.12
갈무리 | 2022.10.25 | 추천 0 | 조회 922
갈무리 2022.10.25 0 922
86
『에일리언 현상학, 혹은 사물의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 | 이언 보고스트 지음 | 김효진 옮김 | 2022.09.22
갈무리 | 2022.09.26 | 추천 0 | 조회 1533
갈무리 2022.09.26 0 1533
85
『임상노동』 | 멜린다 쿠퍼·캐서린 월드비 지음 | 한광희·박진희 옮김 | 2022.07.25
갈무리 | 2022.07.26 | 추천 0 | 조회 734
갈무리 2022.07.26 0 734
84
『아이돌이 된 국가』 | 류하이룽 편저 | 궈샤오안·류궈창·리스민·리훙메이·먀오웨이산·양궈빈·양샤오팅·왕저·왕훙저·우징·저우쿠이 지음 | 김태연·이현정·홍주연 옮김 | 2022.06.22
갈무리 | 2022.06.25 | 추천 0 | 조회 1027
갈무리 2022.06.25 0 1027
83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 지음 | 김효진 옮김 | 2022.04.28
갈무리 | 2022.04.28 | 추천 0 | 조회 1270
갈무리 2022.04.28 0 1270
82
『연속성과 교차성』 | 전지윤 지음 | 2022.3.23
갈무리 | 2022.03.28 | 추천 0 | 조회 696
갈무리 2022.03.28 0 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