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미래의 시를 향하여 - '삶미학'의 구축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강사 : 이성혁)

2분학기
작성자
다중지성의정원
작성일
2018-02-22 22:00
조회
484
[문학] 미래의 시를 향하여 - '삶미학'의 구축은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강사 이성혁
개강 2013년 4월 10일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7시30분 (7강, 105,000원)
강의큐레이터(쿠쿠) 김하은

강좌취지
이 강의는 한국 노동시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아방가르드의 기획과 접속시켜 살펴본다. 20세기 초반에 당대 급진적 예술가와 사회운동 세력이 참여한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은 삶과 분리된 제도 예술을 비판하면서 예술을 통해 삶을 시적인 것으로 고양하려고 했다. 한국의 노동시에도 이러한 아방가르드적 측면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문학계에서 별로 조명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한국 노동시는 시와 삶을 결합하고자 하는 부단한 시도, 삶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직접적인 저항, ‘만인에 의한 시 쓰기’라는 문화혁명적인 측면들 등, 삶을 시적인 것으로 고양하려고 한 아방가르드 운동과 공명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더 나아가 노동시의 아방가르드적 성격은 현재 자본주의의 권력에 저항하고 탈주한다는 삶정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강의는 강사가 쓴 『미래의 시를 향하여』를 바탕으로 노동시의 삶정치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백무산, 박영근, 송경동, 최종천, 강병길, 김광선, 조성웅, 하종오, 황규관 등 현재 노동시인들의 작업들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프리터 세대인 젊은 시인들의 시도 살펴보면서, 미래의 한국 시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강의들은 세계의 시적인 재구축이라는, ‘미래의 시’의 현실화라는 비전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1강 아방가르드의 전개와 그 혁명적 성격-러시아 아방가르드를 중심으로
2강 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아방가르드적 시각에서
3강 한국 노동시의 역사와 현재-삶권력에 저항하기
4강 노동시의 시인들 1-노동자의 생활과 삶미학의 구축 (박영근, 최종천, 강병길, 김광선)
5강 노동시의 시인들 2-잠재성과 봉기의 이미지 (조성웅, 하종오, 황규관, 백무산, 송경동)
6강 젊은 시인들의 프레카리아트적 감성-노동시와의 접속 모색
7강 전망: 자율과 생성, 세계의 시적 재구축을 향하여

참고문헌
이성혁, 『미래의 시를 향하여』, 갈무리, 2013.
노동시 시집들.

강사소개
문학평론가. 2003년 기형도론으로 대한매일 신춘문예 평론부문 당선. 한국문학 전공(박사논문: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전위성 연구」) 현재 서울과학기술대, 추계예술대, 한국외국어대 출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