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혹의 음색 | 김진호 지음 | 2014.8.8

카이로스
작성자
갈무리
작성일
2018-03-11 18:59
조회
846


『매혹의 음색 : 소음과 음색의 측면에서 본 20세기 서양음악의 역사와 이론에 대한 개론서』

Timbre of Attraction

저자 블로그 : http://blog.naver.com/versabd

“오늘날 백남준 이후 분리된 예술들이 다시 통합되는 흐름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지금까지 한국에서 철저히 낙후되었던 현대음악의 사상을 쨍하게 따라잡게 될 것”
(김남수, 무용평론가)

“록음악의 저항과 프리재즈의 자유, 그리고 우연성 음악의 탈주보다 더 근원적인 음악재료의 지점에서
이 책은 음악사의 진보를 묻는다.”(최유준. 전남대HK교수)

“음악의 복잡 모호한 매력에 사로잡힌 여행자를 위한 내비게이터”(차우진, 웹진 『weiv』 편집장)

지은이 김진호 | 정가 25,000원 | 쪽수 440쪽
출판일 2014년 8월 8일 | 판형 신국판 (152×225)
도서 상태 초판 | 출판사 도서출판 갈무리 | 도서분류 Mens, 카이로스총서31
ISBN 978-89-6195-083-1 04300
보도자료 kairos31_매혹의음색_보도자료.hwp kairos31_매혹의음색_보도자료.pdf

인터넷서점 바로 가기 : 알라딘 교보문고 예스24 인터파크

20세기 프랑스의 철학자 앙리 르페브르의 저서 『리듬분석』은 음악적 용어의 하나인 리듬에 관심을 두자는 제언을 담고 있다. “모든 종류의 에너지 사용은 특정한 리듬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가?”(르페브르, 2013)라고 하면서 리듬을 음악의 영역에서 우주의 영역으로 이관한 르페브르는 반대로 우주와 사회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리듬들과 그것들에 대한 논의를 음악의 영역에 수입할 것을 제언하는 듯하다. 『매혹의 음색』이, 르페브르가 음고가 아닌 리듬을 통해 자폐적 음악계를 벗어나 세상을 둘러본 것처럼, 음색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세상을 둘러보는 하나의 시도가 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

『매혹의 음색』 간략한 소개

카이로스 총서 31권. 우리 주변의 소리 중에는 악음(도, 레, 미 등)보다 소음이 훨씬 더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 그런데 근대 작곡가들은 어째서 소음을 음악의 재료로 여기지 않았을까? 멋진 풍경 사진을 찍어 블로그에 올리는 경우는 허다하다. 왜 지리산의 시냇물 소리는 녹음하여 블로그에 올리지 않을까? 우리의 음악청취 경험은 언제부터, 무슨 이유로 고전음악과 대중음악으로 한정되었을까? 음악의 가능성은 거기까지일까?
이 책은 근대 서양음악의 역사와 이론을 ‘음색’과 ‘소음’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비판적으로 조망한다. 근대 이후 서양음악의 대부분은 음의 높낮이를 갖는 음악적 음을 가장 중요한 재료로 삼아, 음을 다루는 정형화된 방법들에 기초하여 만들어졌다. 20세기 초반에 음고가 아닌 음색, 소음 등이 여러 작곡가들의 관심사로 떠오른다. 구체음악, 조직음악, 전자음악, 스펙트럼음악 등은 음색을 부차적이고 장식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그것을 조직화·구조화하려는 20세기의 시도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은 내용을 인문학적·과학기술적 관점과 통합시킴으로써 음악의 영역을 확장하고 음악에 대한 사유를 우리 삶, 또 생명 자체에 대한 통찰과 연결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매혹의 음색』 상세한 소개

음색이란 무엇인가?

청각을 가진 사람은 별다른 의식없이 주변의 소리를 들으면서, 듣기 좋은 소리와 불편한 소리를 구분하고 음악인 것과 음악 아닌 것을 구별 짓는다. 이 책은 이 세상의 무수한 소리들을 음색의 관점에서 조망하면 지금까지 인간의 청각이 무의식적으로 수행해 왔던 그 구분이 반드시 진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같은 새로운 관점이 새로운 지각의 세계로 우리를 안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악음(음악적 음)과 악음이 아닌 것을 구분하는 기준은 음고, 즉 음의 높낮이 느낌이다. 예컨대 어떤 노래의 첫 음이 악보상의 어딘가에 위치한 음가를 갖는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파도소리는 그렇지 않다. 파도소리와 다르게 음고 느낌이 분명한 소리를 악음이라 하는데, 악음은 음색, 음고, 음가, 음의 강도라는 소리 느낌의 네 가지 차원들 혹은 속성들을 가진다. 즉 음고와 음색은 악음이 갖는 소리느낌의 네 얼굴 중 하나이다. 악음보다 복잡한 소리들, 예컨대 종소리처럼 두 개 이상의 음고 느낌을 애매하게 주는 소리, 들을 때마다 음고 느낌이 달라지는 소리, 시간에 따라 음고가 변하는 소리, 음고의 느낌을 전혀 주지 않는 불협화 화음 같은 것들은 소리 그 자체 혹은 소리의 총체로서의 음색을 가진다.

음색, 서양음악사의 특별한 재구성을 위한 키워드

교과서에서 우리가 배워온 서양음악사는 세습처럼 이어지는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등 유명 작곡가들의 릴레이이다. 근대 서양음악사를 음색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완전히 다른 그림이 펼쳐진다.

우선 20세기 이전 서구의 예술적 음악에서 작곡가들은 악음이 가진 여러 차원들(음가, 음의 강도, 음색, 음고) 중에서도 음고만을 중요하게 여겼다. 음고를 제외한 정보는 장식처럼, 대본의 부차적인 지문처럼 표기됨에 반해서(예컨대 악보에 작은 글씨로 표기되는, 점점 더 크게를 의미하는 크레센도나 그 반대인 디크레센도), 음고를 철저하게 체계화하는 기보법(악보작성법)의 발달만 보아도 음고와 다른 음의 차원들 간의 불평등한 취급은 확연하다.

그런데 사실 우리 주변에 있는 소리 중에는 소음이 훨씬 많지 않은가? 왜 악음만 특별한 취급을 받고, 소음은 배제되었을까? 왜 음색은 음악가들에게 무시당했을까? 그 이유는 풍요로운 음색을 가진 소음은 악음만큼 강한 음고 느낌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또 강한 음고 느낌은 복잡한 음색에 비해, 혹은 복잡한 소리로서의 소음에 비해 근대적 합리주의의 관점에 보다 잘 부합했기 때문이다. 강한 음고 느낌을 가지는 악음을 처리하는 작곡법은 풍요롭게 발전하였지만, 음색의 관점에서 보면 그 발전은 과도하다. 음고중심 작곡법의 20세기 버전인 음렬음악이라는 사조는 난해한 음악으로 인간의 일반적인 지각능력을 벗어났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하지만 20세기를 전후로 음색과 소음은, 각각 음고와 악음을 대체하는 것으로써 음악의 중요한 요소로 서서히 부각되었다. 서양음악사는 한편으로는 소음을 악음으로 받아들이는 과정 혹은 악음의 영역을 넓히는 과정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악음이 가진 음색의 측면과 소음의 풍부한 음색을 점점 더 중요하게 여겨온 과정이다.

이 책은 “음색과 소음”이라는 열쇠로 서양음악사의 여러 요소들, 경향들, 사유을 통합하고자 한다. 음색과 소음은 20세를 전후하여 등장한 새로운 음악적 재료이자 언어이다. 이러한 통합 작업은 현대음악의 역사와, 음악학적 이론 작업, 작곡의 방법론 등을 인문학적·과학기술적 관점과 연계하고 통합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구체음악과 조직음악, 전자음악, 스펙트럼음악, 그리고 음렬주의음악 등 아직은 국내에 생소한 현대음악 사조들을 천천히 살펴본다. 음렬주의를 제외한 위 사조들은 복잡한 소리, 소음, 음색 등을 음악의 주요한 재료로 혹은 음악적 담론의 주요 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이 음악사조들은 음색을 부차적이고 장식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그것을 조직화·구조화하려는 20세기의 시도들이다.

매혹의 음색, 세상을 향한 음악적 관심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는 좁은 동네 뒷산의 산길을 걷는 내 앞에 어떤 사람이 천천히 걸어간다. 나는 그를 추월해 좀 더 빨리 걷고 싶은데 그가 내 앞을 막고 있다. 그런데 인기척을 해도 불통이다. 자세히 보니 귀에 이어폰을 꽂고 있다. 음악을 어찌나 크게 듣는지, 이어폰을 통한 소리를 내가 들을 수 있을 정도다. “좀 지나가겠습니다.” 여전히 듣지 못하는 그 사람. 참다못한 나는 그의 어깨를 내 둘째손가락으로 아주 살며시 누른다. 소스라치게 놀라는 그는 뒤를 돌아보고 나를 쏘아본다. “좀 지나가겠습니다.” 한참 동안 나를 노려보다가 시간이 좀 지난 후 상황파악이 됐는지, 옆으로 비켜 길을 나에게 양보한다.

“이어폰을 꽂고 세상과 단절한 채 음악을 듣는 현대인”의 모습은, 저자가 보기에 이어폰으로 귀를 가리는 것과 같다. 이런 방식의 청취는 오늘날 음악이 끼치는 부정적 영향의 상징적 모습이다. 음악은 오늘날 현실을 가리는 귀가리개, 눈가리개로 작용한다는 통찰이다. 전문 음악가라 불려온 사람들은 어떤가? 음악가들은 현실을 잘 모른다.

현실로부터 동떨어진 음악이란 어떤 것인가. 그것은 세상으로부터 추상된, 음고 느낌이 강한 악음을 이렇게 저렇게 연결하여 만들어진 음악이 아닐까?

17, 18세기의 사회사상이 어떤 재해석 없이 21세기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구체적으로 도움이 될 수 없는 것처럼, 뉴튼의 고전역학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물리학에 의해 보완된 것처럼, 과학적 생각과 인문학적 사유 들은 후대의 학자들에 의해 보완되고 수정되며 재해석되는 경우에만 그 현재적 적실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음악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음악이 인간의 사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야만 한다. 모든 음악작품은 인간의 보편적인 지각 방식에 기초해 있으면서도, 그 곡을 만든 작곡가의 사유방식의 반영이다. 그 사유방식은 당연히 시대와 사회상에 영향을 받는다. 심지어 오늘날에는 인간의 지각이 불완전하다는 것이 과학적 연구를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 그렇다면 훌륭하다고 평가받는 수백 년된 거장의 작품이, 시대를 초월한 불멸의 작품일 수 있다는 주장은 어떻게 하여 사람들에게 폭넓게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일까?

이 책은 음악과 예술의 어떤 종류의 불멸성, 보편성을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지만, 음악을 상대화하려고 노력한다. 음악의 아버지 바흐를 비롯해 거장들로 알려진 음악가들도 모든 측면에서 완벽했던 것이 아니며 음색의 관점에서 보면 특히 아쉬운 면들이 많다. 음악청취에도 비판적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음계주의적 화성학의 새 지평을 연 쇼팽의 관현악법은 정말이지 형편없었다. 그의 몇 안 되는 관현악곡들에 대한 혹평은 유명하다. 음색과 새로운 소리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작품을 통해 그 관심을 잘 표현했던 관현악법의 대가 베를리오즈의 음악에서 선율이라 할 만한 것이 없다는 바그너의 혹평도 기억할 만하다. 스트라빈스키에 의하면 뛰어난 선율을 작곡했던 차이코프스키와 벨리니의 음악에서는 잘 구성된 음악적 건축물이 보이지 않는다. 대위법의 대가이자 음고 처리의 전무후무한 마술사인 바흐의 리듬은 천편일률적이며 마치 로봇이 작곡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또한 바흐에게 음색은 아예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모든 면에서 훌륭한 작곡가는 사실 드물었다. 그나마 베토벤이 아마 모든 면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작곡가가 아닐까. 이제부터 위대한 작곡가들에게 하염없이 경탄하기보다 그들에게 비판적인 입장을 감히(!) 가져보자.”

새로운 음악적 관점을 구체화하자

현대사회에서 음악의 역할은 어떤 것인가? 아픔을 위로해주는 음악, 관계에서 받은 마음의 상처를 감정적으로 잊게 해주는 음악, 사회의 건강한 통합을 도와주는 음악, 기분을 좋게 해주는 음악, 우리들은 오늘날 음악에 이러한 역할을 부여하고 정형화된 방식으로 음악을 소비한다. 그러나 감정적이고 정서적인 차원의 음악이 음악의 전부는 아니다.

음악은 35,000년 동안 인간과 함께 해 왔다. 그 역사는 더 오래 됐을지도 모른다. 음악은 문화의 산물이기도 하지만, 영장류의 한 종으로부터 오늘날의 인간으로 진화되어가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 즉 진화적 적응의 한 측면이기도 하다.

세상을 향해 눈과 귀를 여는 사람들이 가지는 새로운 음악적 관점을 구체화해야 한다. 그런 새로운 관점의 구성을 위해 참조할 만한 예들로 이 책은 구체음악, 스펙트럼음악, 조직음악 등 현대음악 사조들을 소개하며 그 면면을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음악을 들을 시간에 주변 환경의 소리를 들어보라. 뜨거운 아스팔트 위에서 삶을 영위하는 다양한 모습들이 내는 소리들이 있다. 장엄한 자연과 우주가 내는 소리들도 있다. 그 소리들의 매혹적인 음색에 관심을 기울여보자고 이 책은 제안한다.

추천사

피카소, 뒤샹을 이어 미래의 대관식을 앞둔 아티스트 백남준을 연구하고자 한다면, 그의 육필에세이집 『백남준: 말에서 크리스토까지』와 함께 김진호 교수의 이 책을 읽는 것이 근본적일 뿐만 아니라 핵심적이며 결정적이다. 왜? 이 문제적 저작을 읽는다는 것은 구체음악과 전자음악 사이에서 '포스트 뮤직'을 고뇌해온 백남준의 생각의 궤도에 직접 전류처럼 접속하는 것이며, 소리의 예술을 통해 빛의 예술로 점프해온 그의 혁명적인 지점을 다시 체험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 백남준 이후 분리된 예술들이 다시 통합되는 흐름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지금까지 한국에서 철저히 낙후되었던 현대음악의 사상을 쨍하게 따라잡게 될 것이다.
― 김남수,『백남준의 귀환』 공저자

탈회화적 추상 이미지와 오브제 디자인을 대중적 차원에서 받아들이는 미술계에 비하면 음악사의 현대는 이상하리만큼 보수적이다. 록음악의 저항과 프리재즈의 자유, 그리고 우연성 음악의 탈주보다 더 근원적인 음악재료의 지점에서 이 책은 음악사의 진보를 묻는다.
― 최유준, 음악평론가·전남대 HK교수

음악의 복잡 모호한 매력에 사로잡힌 여행자를 위한 내비게이터. '음색'과 '소음'을 관통하는 '마음'의 관점이 인문학과 기술과학을 토대로 정교하게 다듬어진다. 한국인 저자가 쓴 탁월한 음악 비평서.
― 차우진, 웹진 『weiv』 편집장

『매혹의 음색』 책 속에서: 소음과 음색의 세계로의 초대

음색의 음계가 없다는 것은 무수히 많은 음색들에 대해 우리가 주의 깊게 인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세상의 다양한 음색과 담을 쌓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혹은 음색의 차원에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이다. 그곳에는 무수히 많은 개별자들만이 있다. 그렇게 우리는 세상을 모른다.
— 「2장 1970년대 이전까지의 20세기 기악음악과 음색·소음」

어떤 한 인간의 음악 듣기는 고립된 행위가 아니다. 그것은 그 자신이 뇌에 저장하고 있는 개념과 지식들, 과학기술의 도구들, 그리고 시대와 역사에 의해 축적된, 그 개인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독립된 타자들에 의해 개화된 집단지성의 도움을 받는다. 음악을 듣는 사람은 홀로 고독하게 살아가지 않는다.
— 「3장 1970년대 이후의 스펙트럼음악과 음색·소음」

만약 현대 음악의 일부가 벨칸토(예쁜 목소리)에 의식적으로 반대하여 음색적 소음을 수용하는 쪽으로 음성을 사용한다면 우리는 새로운 성악발성법의 추상적 지표로서 이른바 ‘말칸토’(나쁜·탁한 목소리)를 생각할 수 있다. 한국에는 풍성한 음색에 우호적인 말칸토의 한 예가 있다. 판소리가 그것이다.
— 「4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 현대 성악음악에서의 음색과 소음」

스피커를 통한 단순한 소리 증폭은 원래의 소리와 그것이 놓여 있는 어쿠스틱 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다. 소리의 증폭은 단지 소리가 커지는 것을 넘어서 그 소리의 음색을 완전하게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리가 붕붕거리는 소리를 매우 심하게 증폭시키면 아주 비현실적인 느낌의 소리가 만들어진다.
— 「5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의 기술들」

음색은 갑자기 찾아온 불청객이 아니었다. 그것은 서양음악의 긴 역사의 주변부에서 조용히 자신의 존재를 알려 왔다. 자신보다 더 각광받는 음고, 그것에 기초한 악음의 화려한 비상에 가려져 있었을 뿐이다. 음고 느낌이 강한 악음의 연쇄가 사람들을 그렇게도 흥분시키는 선율이다.
— 「7장 음악적 지각과 개념에 대한 매혹적 반란의 주역, 음색·소음의 구조화를 향하여」

지은이 소개

지은이
김진호 (Kim Jin Ho, 1965~ )
1965년 서울 출생. 서울대 음대 작곡과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음악가로서 사회학과를 다시 다닌 이유는 음악을 좀 더 넓은 사회적 관점에서 배우고 생각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졸업 후 미디어 회사에서 일을 배우다 도불(渡佛)하여 파리 에꼴 노르말 음악원을 졸업했다. 작곡 디플롬을 얻었고 이후 파리 8대학 대학원에서 음악석사학위를 받았다. 파리 4대학과 전자음악연구소 <일캄>, <국립사회과학고등연구소>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현대음악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여 고등학위증(DEA)을 취득했으며, 파리 4대학에서 ‘현대음악과 음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하였고, 2011년에는 파리 4대학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경상북도 안동에 소재하는 국립안동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작곡가협회> 이사, <한국음악지각인지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2014년 한국에서 개최 예정인 <국제음악지각인지학회>(ICMPC)를 유치하였다. 피아노 협주곡 <유리 절벽 위에서의 축제>, 가곡 <아침처럼>을 포함하여 여러 편의 작품을 발표하였다. 저서로는 『플럭서스 예술혁명』(공저, 갈무리, 2011) 등이 있고 「음악적 정보학의 구조화된 제 차원들」( 『서양음악학』, 2008)을 비롯하여 총 12편의 논문을 연구재단 등재학술지 및 등재후보지에 발표하였다.
현재는 근대적 작곡가의 마음을 보편적인 인간 마음의 일부로 보고 그 마음의 작동방식, 그 진화적 기원, 그 마음에 작용하는 생물학적·사회적 제약 등을 연구하고 있다. 음악이 생명 진화와 인간 진화의 장구한 세월의 흔적을 담고 있다고 생각하여, 그 진화 과정의 무대인 지구와 우주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지구를 탐욕스럽게 착취하여 인간과 다른 생명체들과의 지속 가능한 공존적 삶을 위협하는 근원인 정치경제사회체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관심에서 얻어진 지식과 통찰을 음악창작의 지침과 모델로 삼고 있다. kmusicventure@hanmail.net

목차

머리말 5

1장 음색과 소음, 서출들의 반란? 13
1. 음색과 소음 16
2. 서양음악사, 소음의 수용 과정 35
3. 과거 음악에서의 소음 37
4. 미래주의자들과 소음 음악 46
5. 존 케이지의 환경적 소음 50
6. 피에르 쉐페르의 소리객체로서의 소음 54
7. 전자음악의 합성적 소리음색 68

2장 1970년대 이전까지의 20세기 기악음악과 음색·소음 82
1. 음고 체계와 풍요롭지만 과도하게 발달된 음고 처리 방법들 84
2. 왜 음색인가? 108
3. 음악의 재료의 역사성 109
4. 음고와 음색, 그 차이와 연속성 113
5. 음악적 재료 체계 내부의 여러 차원들의 통합화 과정 124
6. 쇤베르크의 음색 131
7. 리게티의 음색 154
8. 쎌시의 음색 190

3장 1970년대 이후의 스펙트럼음악과 음색·소음 195
1. 스펙트럼에 대한 관심 : 스펙트럼음악의 전사 198
2. 소리의 분석과 기악적 재합성 207
3. 스펙트럼음악의 음악사적 배경 212
4. 작곡가 제라르 그리제이 216
5. 트리스탄 뮤라이의 초기 작품들, 음악적 생각 250
6. 위그 뒤프르의 스펙트럼음악론 266
7. 음렬음악과 스펙트럼음악의 쟁점들 271

4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 현대 성악음악에서의 음색과 소음 297
1. 전자음악과 음색·소음 298
2. 구체음악과 음색·소음 308
3. 현대 성악음악과 음색·소음 313

5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의 기술들 322
1. 마이크로폰과 소리 포착 324
2. 스피커와 증폭 327
3. 자기 테이프 및 릴 테이프에 대한 조작과 디지털화 328
4. 소리객체의 내면적 처리 336
5. 디지털 샘플링, 소리객체의 디지털 포착 339

6장 구체음악의 의미, 은유, 소리객체 342
1. 소리객체의 다중적 의미 346
2. 구체음악의 의미로서의 은유 355
3. 소리 환경과 함께하는 작곡 360
4. 기악적 구체음악과 소리객체 367

7장 음악적 지각과 개념에 대한 매혹적 반란의 주역, 음색·소음의 구조화를 향하여 371
1. 되돌릴 수 없는 세계 372
2. 음색의 소극적 구조화 376
3. 음색의 위계? 383
4. 음색과 소음, 더 유연하고 다양한 음악세계로의 초대장 393

부록 397
참고문헌 418
인명 찾아보기 424
용어 찾아보기 429
전체 299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29
『역사의 시작』 | 맛시모 데 안젤리스 지음 | 권범철 옮김 | 2019.3.18
갈무리 | 2019.03.18 | 추천 0 | 조회 1508
갈무리 2019.03.18 0 1508
228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 권명아 지음 | 2019.2.11
갈무리 | 2019.02.12 | 추천 0 | 조회 1554
갈무리 2019.02.12 0 1554
227
『있지도 않은 자유를 있다고 느끼게 하는 거짓 자유』 | 엄윤진 지음 | 2019.1.21
갈무리 | 2019.01.22 | 추천 0 | 조회 1712
갈무리 2019.01.22 0 1712
226
『깊이 읽는 베르그송』 | 블라디미르 장켈레비치 지음 | 류종렬 옮김 | 2018.12.28
갈무리 | 2019.01.04 | 추천 0 | 조회 1790
갈무리 2019.01.04 0 1790
225
『봄이 온다』 | 객토문학 동인 지음 | 2018.11.28
갈무리 | 2018.12.06 | 추천 0 | 조회 1433
갈무리 2018.12.06 0 1433
224
『자본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해리 클리버 지음 | 조정환 옮김 | 2018.11.30
갈무리 | 2018.12.03 | 추천 0 | 조회 1606
갈무리 2018.12.03 0 1606
223
『투명기계』 | 김곡 지음 | 2018.10.26
갈무리 | 2018.10.29 | 추천 0 | 조회 1649
갈무리 2018.10.29 0 1649
222
『네트워크 사회와 협력 경제를 위한 미래 시나리오』 | 미셸 바우웬스·바실리스 코스타키스 지음 | 윤자형·황규환 옮김 | 2018.9.20
갈무리 | 2018.09.20 | 추천 0 | 조회 1552
갈무리 2018.09.20 0 1552
221
『도리스 레싱, 21세기 여성 작가의 도전』 | 민경숙 지음 | 2018.8.31
갈무리 | 2018.09.05 | 추천 0 | 조회 2503
갈무리 2018.09.05 0 2503
220
『피와 불의 문자들』 | 조지 카펜치스 지음 | 서창현 옮김 | 2018.8.16
갈무리 | 2018.08.20 | 추천 0 | 조회 1671
갈무리 2018.08.20 0 1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