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호] 비애ㅣ김명환

김명환의 삐라의 추억
작성자
자율평론
작성일
2018-02-28 22:51
조회
905
 

김명환의 삐라의 추억 5


비애






“사북역에 내렸을 때, 무언가가 가슴을 치지 않으면, 거기, 몇 달이고, 몇 년이고 있어도 소용없어. 넌 글쟁이가 아니니까. 바로 올라오는 차를 타고 돌아와!”

1987년 겨울이었다. 사북에 거처를 마련해 준 삼촌이 작별인사차 들른 내게 말했다. 청량리역에서 사북역까지 가는 동안 두려웠다. 가슴을 치는 무언가가 없으면, 돌아와야 한다. 사북역에 내렸다. 나는 돌아오는 차를 타지 않았다.


광산노동자들과 소모임을 했다. 토론 결과를 시의 형식으로 정리하고 함께 읽으며 고쳤다. 노동자들은 정리된 시를 유인물로 만들어달라고 했다. 인근에서 유일하게 복사기가 있던 도계성당에서 시 5편으로 삐라 200마리를 만들었다. 토론에 참여한 10여 명의 노동자들은 가명을, 나는 실명을 표지에 넣었다. 탈의실 옷장에 배포했다. 그 탄광에 다니고 있던 나와 이름이 같은 노동자가 붙잡혀 곤욕을 치렀다는 말은 사북을 떠나고 나서 들었다. 정치지망생이었던 사용자에 대한 신랄한 풍자가 사단을 일으킨 모양이었다.


술을 마시고 밤늦게 어두운 길을 걸어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갑자기, 멀리 앞쪽에 있던 1톤 트럭이 시동을 걸었다. 트럭이 내게 질주했다. 길가 화단으로 몸을 날렸다. 트럭은 화단 턱에 부딪쳐 튕겨나갔다. “미친 자식, 술 처먹었나!” 투덜대며 집에 오자마자 곯아떨어졌다. 다음날 밤에도 술을 마시고 늦게 어두운 길을 걸어 집으로 돌아왔다. 멀리 앞쪽에 있던 1톤 트럭이 시동을 걸었다. 나는 차가 다닐 수 없는 골목길로 뛰었다. 문득, 며칠 전에 걸려온 전화가 떠올랐다. 토론에 참여했던 광산노동자들 중 한 명이 안부전화를 했었다. 그 길로 다른 지역으로 떠났다. 무서웠다. 안기부보다 보안대보다 경찰보다 무서웠다. 6개월이나 지나서 집에 돌아왔다. 글을 쓴다는 게, 삐라를 만든다는 게,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일이라는 걸 비로소 알았다.


세월이 흐르고, 그때, 사북역에 내렸을 때, 내 가슴을 치던 묵직한 것이, 목숨을 걸어야 하는 노동 아니었을까? 그런 생각을 한다.


산굽이 돌아 사북에 이르면 슬픔이 묻어난다
저물어 돌아가는 길을 따라 어둠이 내리고
저린 가슴으로 견뎌온 생애가 등성이 넘어
보이지 않는 빛살로 다가오면
가난을 사고파는 시장
어두운 골목으로 아이들이 달려가고
몸살을 앓던 젊음은 탄더미로 묻히는데
끝 모를 어둠으로 내려가는 갱도를 따라
지친 육신은 잠겨들고 희미한 불빛으로
바라볼 수 있는 희망은 지척일 뿐
더 깊은 어둠으로 들어가야 하는
내일은 보이지 않는다


- 졸시 「사북에 이르면」 전문


사북에서 쓴 시를 다시 읽으며, 그때, 사북역에 내렸을 때, 내 가슴을 치던 묵직한 것이,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노동을 하는 비애 아니었을까? 그런 생각을 한다.



* 김명환은 195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4년 사화집 『시여 무기여』에 시 「봄」 등을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89년 월간 『노동해방문학』 문예창작부장, 2000년 ‘철도노조 전면적 직선제 쟁취를 위한 공동투쟁본부’ 기관지 『바꿔야 산다』 편집장, 2007년 철도노조 기관지 『철도노동자』 편집주간으로 활동했다. 같은 제목의 시집과 산문집 『젊은 날의 시인에게』가 있다.

전체 0

전체 48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14
[74호] 이상형을 만난 인공심장은 어떻게 반응할까?ㅣ이윤하
자율평론 | 2022.12.01 | 추천 0 | 조회 323
자율평론 2022.12.01 0 323
413
[74호] 통과하고 투과하는 관계, 『종과 종이 만날 때: 복수종들의 정치』ㅣ전우형
자율평론 | 2022.12.01 | 추천 0 | 조회 423
자율평론 2022.12.01 0 423
412
[74호] 함께 산다는 것, 관계“망”의 무한함에 관하여ㅣ배혜정
자율평론 | 2022.12.01 | 추천 0 | 조회 343
자율평론 2022.12.01 0 343
411
[73호] 예술 인간 벤저민 레이ㅣ손보미
자율평론 | 2022.09.20 | 추천 1 | 조회 552
자율평론 2022.09.20 1 552
410
[73호] 놀이로서의 민족주의 ― 『아이돌이 된 국가』를 읽고ㅣ김정구
자율평론 | 2022.09.16 | 추천 0 | 조회 482
자율평론 2022.09.16 0 482
409
[73호] 임상노동자와 ‘임금 없는 삶’의 거리ㅣ김주희
자율평론 | 2022.09.04 | 추천 0 | 조회 382
자율평론 2022.09.04 0 382
408
[73호] 동시대 중국의 민족주의를 이해하는 여덟 가지 방법ㅣ임대근
자율평론 | 2022.08.23 | 추천 0 | 조회 476
자율평론 2022.08.23 0 476
407
[73호] 중국 사이버 민족주의는 어디로 가고 있나?ㅣ서정경
자율평론 | 2022.08.23 | 추천 0 | 조회 431
자율평론 2022.08.23 0 431
406
[73호] 들뢰즈주의적 실재론 /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한국어판 출간 기념 강연 원고
자율평론 | 2022.08.10 | 추천 1 | 조회 685
자율평론 2022.08.10 1 685
405
[73호] DELEUZIAN REALISM /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한국어판 출간 기념 강연 원고
자율평론 | 2022.08.10 | 추천 0 | 조회 348
자율평론 2022.08.10 0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