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집 | 임미란 시집 | 2013.1.22

마이노리티
작성자
갈무리
작성일
2018-03-11 17:52
조회
902


지은이 임미란 | 정가 7,000원 | 쪽수 116쪽
출판일 2013년 1월 22일 | 판형 변형국판(122*190) | 도서 상태 초판 / 무선철
출판사 도서출판 갈무리 | 도서분류 마이노리티시선 36
ISBN 9788961950626 | 보도자료 외딴집_보도자료.hwp

인터넷서점 바로 가기 :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임미란의 시가 이처럼 따뜻하게 와 닿는 까닭은 무엇일까?
생에 대한 그의 태도는 ‘낮게 흐르다 / 품을 듯 품을 듯 다 놓아주고 / 다시 몸 벌려 품어 주는 / 살래천 순한 강물’(‘살래천’) 같이 느껴진다. 한 마디로 말하면 모성이다. 껴안되 놓아 주고, 품되 소유하지 않는 너그러운 모성이 이 시집의 바닥에 흐르고 있음을 느낀다. 혼자 소유하지 않고 잡초와 산짐승과 새들과 함께 나누는 삶이니 어찌 행복하지 않으랴.
_ 이응인(시인), 「배꽃으로 피워 올린 시정(詩情)」 중에서


『외딴집』 출간의 의미

문학의 위축 속에서도 그간 노동시의 끊임없는 실험과 투쟁의 힘을 지속적으로 표출해온 <마이노리티 시선> 서른여섯 번째 책으로 임미란 시인의 첫 시집 『외딴집』이 출간되었다.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2000년에 『밀양문학』에 시를 발표하며 활동을 시작한 임미란 시인은 현재 밀양의 다블산 자락에 살고 있다. 다블산은 시인이 직접 배농사를 짓는 곳일 뿐만 아니라 우렁차고 푸른 솔이 외롭고 쓸쓸한 이를 쉬어가게 하는 곳이며(「솔아 푸른 솔아」), 관음사 홍천 큰스님의 천수경과 뻐꾸기의 울음소리(「사월 초파일」)가 들리는 시인의 시정이 묻어나는 곳이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 시집에서 시인은 “농사꾼으로 살아가는 그의 땀내와 직접 기르고 매만진 나물 향과 이웃에 대한 따뜻한 눈길과 반가움”(이응인 시인)을 시에 담아내고 있다. 시인은 다블산의 인적도 드문 ‘외딴집’에 살지만 “검둥이도 숨어버린 마당엔 / 눈발 섞인 바람만 법석이니 / 결국 우체부도 쉬는가 보다.”하며 집 밖의 생명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둔다.
그래서 소나무와 뻐꾸기 등 생명에 애정을 갖고 있는 시인의 시는 따뜻하다. 따뜻함의 저변에는 “낮게 흐르다 / 품을 듯 품을 듯 다 놓아주고 / 다시 몸 벌려 품어 주는 / 살래천 순한 강물”(「살래천」)과 같은 모성이 흐르고 있다. 즉 껴안되 놓아 주고, 품되 소유하지 않는 너그러운 모성이 이 시집의 바닥에 흐르고 있는 것이다.
시집 『외딴집』은 경제 위기와 추운 겨울로 인해 몸과 마음이 얼어붙은 이들을 따뜻하게 해줄 것이다.


시인의 말

눈이 천지를 뒤덮은 아침
아궁이 앞에서
타닥타닥 장작 타는 소리 듣는다.
참 고요하다.
온기가 손끝에서 심장으로 전해진다.
자꾸 기분이 좋다.
옆자리에 슬그머니 누렁이가 와서 앉는다.
동무같이 나란히 불을 쬔다.
따뜻함까지 나누어서 더 좋은
닫힌 듯 열린
외딴집엔
굴뚝에 연기 치솟고
함박눈 포근히 내린다.


시인 소개

1960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다. 2000년 『밀양문학』에 시를 발표, 활동을 시작했다.
밀양 다블산 자락 “이화농원”에서 배농사를 지으며 밀양문학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추천사

임미란 시인은 농부입니다. 공기 속에 보이지 않는 산소와도 같은 소중한 농부입니다. 흙과 물과 햇볕처럼 없어서는 안 될 농부입니다. 이른 아침에 “산사 떨리는 종소리와 / 우주의 고귀한 생명들 / 살아 숨 쉬는 소리”를 들을 줄 아는 농부입니다. 이렇게 모든 생명을 아끼고 섬기는 농부가 쓴 시를 읽다보니 나도 모르게 사람 냄새와 땀 냄새에 푹 젖습니다. 이 시집은 잔머리만 굴러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메마른 양심을 봄비처럼 촉촉하게
적셔 주리라 생각합니다. 아이고 어른이고 누구나 이 시집을 읽으면 우리 둘레에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과 자연의 소중함을 저절로 깨닫게 될 것입니다.
_ 서정홍 (농부 시인)


[발문요약] 배꽃으로 피워 올린 시정(詩情)

어둠이 다블산을 타고 내려도 배밭은 환했다. 산자락 가득 배꽃이 피는 밤, 밀양문학회 몇몇 회원들이 모였다. 먹고, 떠들고, 마시고, 노래했다. 하지만 아무도 시를 읊지 않았다. 그날 밤 배꽃은 어둠의 속살을 환히 열어 이윽하게 향기를 피우고, 다들 그 꽃향기에 취해 버렸으니, 그 자체로 시가 되고도 남았다. 우리를 불러 모은 배밭 주인 임미란 시인, 그를 만난 지도 십 년이 넘었다. 그는 밀양 시내가 빤히 내려다보이는 산 속에서 아이들을 키우고, 배농사를 짓고, 이웃 포도밭에 품앗이를 가고, 시를 쓰며 산다. 배 한 쪽이 입 안 가득 달큰하게 배어나듯 그의 삶이 배어나는 시가 한 권의 시집으로 묶여 나오기를 오래 기다렸다. 하지만 그는 수줍고 겸손한 마음에 내 기다림만큼 머뭇거리다 이제야 첫 시집을 세상에 내보낸다고 하니 그저 반가운 마음에 입을 다물지 못하겠다.
그의 시는 농사꾼으로 살아가는 그의 땀내와 직접 기르고 매만진 나물 향과 이웃에 대한 따뜻한 눈길과 반가움으로 가득 차 있다.

1. 자연이 품어 안은 아름다운 삶터

나무들이 윙윙 소리를 내기에 / 아무도 오지 않을 성 싶지만 / 키대로 자라 마른 풀 사이로 / 지난여름 새끼였을 / 노루가 슬쩍 놀다 가면
장작 연기 매캐한 / 난로 앞에 앉아 더 매서운 / 산속 바람 소릴 듣는다. // 사나흘 꼬박 앓고 보니 / 사는 것이 만만치 않아 / 꼭꼭 채비 해 두었던 / 속이 더 붉은 / 늙은 호박 한 덩이 안고 와 / 무얼 해먹을까 궁리를 하는데 // 검둥이도 숨어버린 마당엔 / 눈발 섞인 바람만 법석이니 / 결국 우체부도 쉬는가 보다. ― 「외딴집」 전문

그는 산속 외딴집에 산다. 겨울이라 사방에서 바람 소리만 윙윙대는 곳이다. 게다가 ‘사나흘 꼬박 앓고’ 나니 사람이 그립고 바깥세상이 그립다. 온종일 기다려도 사람 그림자는 흔적도 없고, ‘키대로 자란 마른 풀 사이로’ ‘노루가 슬쩍 놀다’ 갈 뿐, ‘산속 바람’만 더욱 매섭다. 이러니 몸만 아픈 게 아니다. 바람 소리가 더 차고 매섭게 느껴진다. 그렇다고 그는 다시 이불 속으로 파고들지는 않는다. ‘속이 더 붉은 / 늙은 호박 한 덩이 안고 와 / 무얼 해먹을까 궁리를’ 한다. 자기 속으로 웅크리며 움츠러드는 게 아니라 아픔 몸으로 일상을 일으켜 세운다. 그만큼 그는 태생적으로 건강하다. 그래도 눈길은 자꾸만 밖으로 향한다. ‘검둥이도 숨어버린 마당엔 / 눈발 섞인 바람만 법석이니 / 결국 우체부도 쉬는가 보다.’ 인적이 끊어진 시골에서 신문과 편지를 가져오는 우편배달부의 오토바이 소리는 바깥세상의 소식을 가져오는 유일한 통로이다. 그런데 ‘눈발 섞인 바람만’ 난리를 치는 걸 보니 오늘은 ‘결국 우체부도 쉬는가 보다’. 마지막 행에서 기다림의 끝에 젖어드는 외로움을 한껏 느끼게 만든다.
밤이면 외로움은 소리로 다가온다. 검둥이와 누렁이가 환장한 듯 짖어대면 멧돼지가 내려왔다는 신호다. 밤이면 어미 멧돼지가 주린 배를 안고 찾아와 배나무 가지를 부러뜨리고 배 봉지를 찢어 놓는다(‘도둑의 눈’). 처량히 우는 풀벌레 소리 선잠을 깨워 돌아보면 ‘서산에 달 지도록 / 마실 간 사람 / 기척이 없’다(‘풀벌레 우는 밤’). 산속의 밤이 이처럼 그를 잠들지 못하게 한다. 하지만 산속에서 밤만 있으랴.

2. 힘겨운 농사일, 사람은 그립고

제초제 한 번 살포에 / 오 년 동안 땅이 죽는다며 / 남편은 매일 힘들게 풀을 베며 / 친환경 농사를 고집하지만 / 남들은 게으르다 손가락질이다. // 잡초만 수북하니 / 메뚜기 떼거리로 몰려다니고 / 어둠 속 반딧불이도 / 제 세상인 듯 떠다니는데 // 개밥을 주거나 / 잘 여문 밤을 줍거나 / 한참 배를 수확할 때 / 노루며 꿩, 토끼 같은 작자들 / 때때로 마주쳐도 / 웃자란 풀 속으로 / 슬쩍 엎드리면 그만이니 // 게으른 사람들이라 / 만사에 눈감아 줬더니 / 풀이며 짐승과 / 하찮은 미물들까지 / 지들이 주인인 줄 안다. ― 「이화농원」 전문

‘친환경 농사’란 구절을 읽는 순간, ‘참 힘들게 농사짓는구나!’ 하는 말이 저절로 튀어나온다. 소비자 입장에서야 ‘친환경 농사’를 좀 나은 먹거리, 좀 비싼 먹거리 정도로 인식할지 모르지만, 농사꾼에게는 전혀 다르다. 친환경 농사 좋은 줄 알지만 왜 안 짓겠나? 관행농법과 비교하면 첫째, 힘들다. 다음, 고생에 비해 큰돈 안 된다. 그러니 소위 말해 철학이 없으면 친환경 농사 못 짓는다. 그러나 그는 이미 ‘잡초만 수북하니 / 메뚜기 떼거리로 몰려다니’는 그 속으로 들어가 살고 있다. 거기서 ‘노루며 꿩, 토끼 같은 작자들’ 만나고 ‘하찮은 미물들’과 함께 ‘주인’이 되어 살아간다.
(… 중략 … )
임미란의 시가 이처럼 따뜻하게 와 닿는 까닭은 무엇일까?
생에 대한 그의 태도는 ‘낮게 흐르다 / 품을 듯 품을 듯 다 놓아주고 / 다시 몸 벌려 품어 주는 / 살래천 순한 강물’(‘살래천’) 같이 느껴진다. 한 마디로 말하면 모성이다. 껴안되 놓아 주고, 품되 소유하지 않는 너그러운 모성이 이 시집의 바닥에 흐르고 있음을 느낀다. 혼자 소유하지 않고 잡초와 산짐승과 새들과 함께 나누는 삶이니 어찌 행복하지 않으랴.

수돗물 꽝꽝 얼어대는 이 저녁 / 밥상 위에 반찬 가지 수 많단 건 / 둘러앉을 사람 또한 많은 거지 // 삶에 내몰리어 거리를 헤매던 이
하나 둘 돌아오니 / 차가운 댓돌 위 신발 가득하네. ― 「행복」 전문

그의 삶과 마찬가지로 그의 시도 또한 눈 맑은 독자들과 만나 행복해지기를 빈다.

*「발문」 전문은 시집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응인(시인)


목차

1부

011 이른 시간
012 초봄
013 적막한 산 속에선
014 부자로 사는 법
015 소나기
016 가을은
017 겨울 남천강
018 아버지와 갈치
020 보리타작 마당
022 봄비
023 김장 배추
024 도둑의 눈
026 산사
027 외딴집
028 농사꾼이란
029 봄

2부

033 이끌림
034 감꽃
036 이화농원
038 어떤 표지석
040 공식
041 큰언니
042 집으로 오는 길
043 단잠
044 봄이 올 때까지
046 운정댁
048 푸짐한 것은
049 노인
050 솔아 푸른 솔아
051 10월의 풍경
052 비밀투표
053 배꽃
054 손님맞이

3부

057 비 오는 날
058 간고등어
060 사월 초파일
061 고것
062 상추쌈
063 치매
064 살래천
066 어미
068 시집살이
069 행복
070 늙은 연애
072 길
073 통증
074 해탈
075 남지 유채 축제
078 긴 하루

4부

081 우주야 우주야
082 부부 싸움
083 비 갠 저녁나절
084 아침이 오는 소리
086 검둥이
087 나를 반기는 것들
088 단오 무렵
090 사람 좋은 종태
092 산비둘기
093 생각 또 생각
094 이때쯤이면
096 어쩌다 쉬는 날
097 매미 소리
098 노인 무료 급식소
100 풀벌레 우는 밤
101 가로등과 달과 오솔길

발문 - 배꽃으로 피워 올린 시정(詩情) / 이응인 102
전체 30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21
『도리스 레싱, 21세기 여성 작가의 도전』 | 민경숙 지음 | 2018.8.31
갈무리 | 2018.09.05 | 추천 0 | 조회 2562
갈무리 2018.09.05 0 2562
220
『피와 불의 문자들』 | 조지 카펜치스 지음 | 서창현 옮김 | 2018.8.16
갈무리 | 2018.08.20 | 추천 0 | 조회 1727
갈무리 2018.08.20 0 1727
219
『배반당한 혁명』 | 레온 뜨로츠키 지음 | 김성훈 옮김 | 2018.7.1
갈무리 | 2018.07.18 | 추천 0 | 조회 1408
갈무리 2018.07.18 0 1408
218
『정동정치』 | 브라이언 마수미 지음 | 조성훈 옮김 | 2018.6.29
갈무리 | 2018.07.06 | 추천 0 | 조회 1584
갈무리 2018.07.06 0 1584
217
『전쟁이란 무엇인가』 |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지음 | 김만수 옮김·해설 | 2018.5.25
갈무리 | 2018.05.28 | 추천 0 | 조회 1879
갈무리 2018.05.28 0 1879
216
『정치 실험』 | 마우리치오 랏자라또 지음 | 주형일 옮김 | 2018.4.28
김하은 | 2018.05.01 | 추천 0 | 조회 1478
김하은 2018.05.01 0 1478
215
『노예선』 | 마커스 레디커 지음 | 박지순 옮김 | 2018.3.30
갈무리 | 2018.04.04 | 추천 0 | 조회 1972
갈무리 2018.04.04 0 1972
214
『부채 통치』 | 마우리치오 랏자라또 지음 | 허경 옮김 | 2018.2.23
갈무리 | 2018.03.11 | 추천 0 | 조회 1327
갈무리 2018.03.11 0 1327
213
『근본적 경험론에 관한 시론』 | 윌리엄 제임스 지음 | 정유경 옮김 | 2018.1.31
갈무리 | 2018.03.11 | 추천 0 | 조회 1866
갈무리 2018.03.11 0 1866
212
『문학의 역사(들)』 | 전성욱 지음 | 2017.12.29
갈무리 | 2018.03.11 | 추천 0 | 조회 1712
갈무리 2018.03.11 0 1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