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27 발제 - 5 투케와 오토마톤

작성자
Namhee Kim
작성일
2018-07-27 18:23
조회
1210
쾌락원칙 &현실원칙 +반복강박
http://naver.me/Flh7MPX3

클리나멘
고대의 철학자 루크레티우스가 도입한 용어로, ‘기울어져 빗겨감 혹은 벗어남’을 뜻한다.
http://naver.me/5CE5vCam

5 투케와 오토마톤

정신분석은 관념론이 아니다
88p 정신분석만큼 경험의 중심에서 실재의 중핵을 향하고 있는 실천도 없다

이 실재를 우리는 어디서 만나게 될까?
정신분석이 발견한 것 속에서 핵심은 실제로 만남, 어떤 본질적인 만남이다. 즉 우리는 달아나는 어떤 실재와의 만남에 항상 불려나가게 되어 있다.

투케Tuché
아리스토텔레스가 원인 에 관해서 연구하면서 사용한 용어
우리는 그것을 ‘실재(와)의 만남’이라 번역했다.

오토마톤Automaton
기호들의 회귀,재귀,되풀이가 우리 자신이 쾌락원칙의 명령 아래 있음을 보여준다면,
실재는 바로 그런것들 너머에 위치한다.
실재는 항상 오토마톤 뒤편에 자리 잡고 있다.

프로이트가 거의 불안에 사로잡힐 정도로 골몰했던 문제는
-첫만남이란 무엇인가
-환상 뒤에 있다고 단언할 수 있는 실재는 무엇인가

89p 반복 : 본성상 분석에서 항상 베일에 가려짐
not 기호들의회귀나 재생산, 일종의 회귀화된 기억에 의해 주조된 변조
not 전이

전이
?) 전이에서 문제가 되는 실재와의 관계는 프로이트가 “그림으로나 부재중일 때는” 아무것도 붙잡을 수 없다 고 말했을 때 분명해졌다.

전이와 관련된 현실의 이 모호함은
반복에서 실재가 담당하는 기능 으로부터 출발해야만 해명 가능하다.

우리에게 정확히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우리가 매 순간 재발견하는 이 헛디딤, 흠집인 한, (주체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됩니다.)

만남으로서의 실재의 기능
투케의 기능, 만남-본질적으로 어긋난 만남이라 할 수 있는 만남-으로서의 실재의 기능
: 트라우마 라는 형태로서 처음 등장

90p
분석 경험의 기원에서 실재가 그 내부에 있는 ‘동화 불가능한 것’-트라우마-의 형태로 나타났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이다.
우리는 여기서 쾌락원칙과 현실원칙의 대립을 통해 도입된 갈등 개념이 얼마나 뿌리깊은 것인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에 도달하게 된다.

트라우마는 쾌락원칙에 의해 규정되는 활동 전반을 방향짓는 주체화하는 항상성 에 의해 완충돼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분석 경험은 한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주테의 욕망을 담지하는 꿈이 어떻게 트라우마를...반복적으로 다시 등장시킬 수 있는 걸까?

결론을 말하면,
현실 체계는 그것이 아무리 고도로 발달하더라도 여전히 실재에 속해 있는 것의 핵심적인 한 부분이 쾌락 원칙의 올가미에 사로잡히게 놔둔다는 것이다.

우리가 가늠해야하는 것은 이것, 이러한 현실이다.

91p
만남 이라 부른 실재 내의 근본적 지점들:
현실을 unterlegt, untertragen한 것으로 이해하게 만드는 지점
프랑스어로 souffrance(고통,괴로움,번민)
현실이라는 것이 거기서 미결 상태로 대기하고 있음

무의식-1차 경험
결렬의 경험 속-지각과 의식 사이 (무시간적인 장소)-또다른 공간•장소•무대

92
나를 깨우는 것처럼 보이는 노크 소리 아래서 꿈을 꾸기 시작한 순간의 내가 무엇이었나?
나는 깨어나기 전에 존재하고 있다.
avant que je ne me réveille
‘ne’허사: 잠을 깨기 전의 ‘내가 존재하는’ 현존방식
이것은 단순한 허사가 아니라, 내 실질성이 표출되어야 할 때마다 나타나는 표현이다.

잠을 깨우는 노크소리가 난 후, 나는 외관상 나의 표상-겉으로 볼 때 나를 의식적 존재로 만들 수밖에 없는 표상-과의 관계를 통해서만 지탱욀 수 있게 만드는 구조적 대칭


93
꿈의 해석에서 꿈예
아버지를 깨운 것: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 즉 촛불이 넘어져 아들이 누워 있는 침대를 불태우고 있는 현실 그 자체와 거의 흡사한 것을 그의 꿈속에서 나타내주는 어떤 것.

여기서 꿈은 욕망의 실현이라는 프로이트 테제를 뒷받침하기에 적당치 않아 보이는 무엇인가가 있다. -부차적으로 보이는 꿈의 또 한가지 기능:
꿈은 잠을 연장시키려는 욕구만을 충족시킨다.

94
“잠을 깨우는 것은 무엇인가?”: 꿈 ‘속에 있는’ 또 다른 현실

95
이어지는 꿈은 본질적으로 어긋난(상실된) 현실, 즉 아무리 긴 시간이 흘러도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깨어남 속에서 무한히 반복됨으로써만 이뤄질 수 있는 현실에 바치는 오마주라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우연한 사고 속에서 현실은 어디있는 걸까요? 결국 (보다 운명적이라 할 무언가가 아니라) 아버지가 잠에 깨서 올 때까지도 시신을 지켜볼 임무를 맡은 사람이 잠들어 있던 현실, 바로 그 현실을 ‘수단으로’ 해서 반복되는 것이 아닐까요?

이렇게 꿈과 깨어남 사이에서, 뭔지 모를 꿈을 꾸며 계속 잠을 자고 있는 사람과
오로지 깨어나지 않으려는 이유만으로 꿈을 꿈 사람 사이에서 영원히 어긋난(상실된) 만남이 스쳐 지나갑니다.

꿈은 단순히 소망을 충족시키는 환상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꿈은 아들이 아직도 살아 있다고 말하려는 게 아니었으니까.
96
하지만 죽은 아들이 아버지 팔을 잡고 있는 끔찍한 광경은 꿈속에서 들려오는 저 너머의 것을 가리킨다.
꿈은 대상의 상실을 더없이 잔인한 부분까지 그려냄으로써 욕망을 현전화한다.
진정 단 한 번의 만남이라 할 수 있는 이 (태고의) 만남이 이뤄질 수 있는 것은 오직 꿈속에서이다.
오직 의례로서만, 끊임없이 반복되는 행위로써만 이 태고의 만남을 기념할 수 있다.
아버지 중의 아버지(신)가 아니라면 어느 누구도. 어떤 의식적인 존재도 아이의 죽음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무신론의 진정한 공식은 ‘신은 무의식이다’입니다(신은 죽었다 가 아니라)

이 사고는 무엇이었을까
모든 이가 잠들어 있는 세계 속에서 “아버지, 제가 불타고 있는 게 안 보이세요?”라는 목소리만이 들려온다는 것.
이 문장은 그 자체로 불쏘시개다. 그것이 떨어지는 곳마다 불이 붙는다.
우리는 무엇이 불타고 있는지를 알 수 없는데, 불꽃으로 인해 불길이 unterlegt,untertragen의 수준, 즉 실재에까지 뻗쳐 있다는 사실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97
바로 이것을 통해 아버지에게 고통을 안기며 떨어져나온 꿈 속의 문장 속에서 깨어났을 때의 그의 의식이 될 만한 것의 이면을 알아보게 되며,
꿈 속에서 표상의 상관항이라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자문하게 된다.

그 무엇은 꿈의 이미지적인 측면에 속한다.
프로이트가 무의식을 결정짓는 것이라 지적한-표상의 대리자 tenant-lieu de la représentation
(이것의 기능에 대해서는 차후)

저는 이를 통해 여러분이 영원히 어긋난(상실된) 것으로서의 만남에서 매듭이 되고 프로이트가 그 꿈속에서 더없이 잘 예시된다고 보았던 어떤 것을 그의 텍스트 상에서 실제로 뒷받침해주는 것이 무엇인지를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트라우마에서 환상까지 이어지는 실재의 자리
(*환상: 반복 기능에서 가장 핵심적이고 결정적인 어떤 것을 숨기는 스크린)
깨어남의 기능과 이 깨어남 속에서의 실재의 기능 모두에게서 발견되는 모호함을 한꺼번에 설명해줄 것

실재는 우리가 꿈을 꾸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주는 사고, 작은 소음, 지극히 사소한 현실에 의해 대표(대리)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또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이 현실은 그렇게 사소한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우리를 깨우는 것은 표상의 역할을 (대신) 수행하는 무엇인가를 실패하게 만드는, 배후에 숨겨진 또다른 현실Trieb(urge,drive)이기 때문입니다.

98
깨어남은 두 가지 방향(의미)로 작동한다.
구성되고 표상된 어떤 현실 속에 우리를 다시 위치시키는 깨어남은 이중적인 용법을 갖는다.

우리가 실재를 찾아야 하는 것은
바로 꿈의 저편, 즉 하나의 대리자만을 갖는 표상의 결여 뒤에서 꿈이 우리에게 감싸 숨기고 있는 어떤 것 속에서입니다.

99p
키에르케고르의 ‘반복’
사랑은 무엇에 의해 시작되었나요?
: 본질적으로 기만에 의해

문제는 자연적인 것 속에 자리잡고 있는 반복, 즉 욕구의 회기가 아닙니다.
욕구의 회귀는 생물학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소비를 지향합니다.
반면 반복은 새로운 것을 요구합니다. 새로운 것을 자신의 차원으로 하는 유희적인 것 쪽으로 기울어집니다.

이러한 반복 속에서 변주되고 변조되는 것은 모두 그 반복의 의미를 헛갈리게 만들 뿐입니다.
이러한 변주는 유희의 진정한 비밀이라 할 수 있는, 반복 그 자체가 구성하는 좀더 근본적인 다양성을 감추고 있다.

100p
이야기의 세부사항들을 넘어서 한결같은 것을 요구한다는 것은, 그 기억행위 속에서는 시니피앙의 실현이 결코 시니피앙스 그 자체의 우위를 의미할 수 있을 만큼 정교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변주는 시니피앙스의 행위를 놀이로 변형시키고, 쾌락원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행복한 방출이라 할 수 있는 것을 거기에 부여하면서 시니피앙스의 목표물을 망각시킨다.

윤곽이 드러난 부재에 의해 도입되어 항상 열린 채로 있는 간극은 원심적인 궤적의 원인으로 남는다.
이 원심적인 궤적에서 떨어져나오는 것은 주체가 자신을 투사하는 인물로서의 타자가 아니라, 아이가 쥐고 있는 실가닥을 통해 아이 자신과 연결된 실패꾸러미다.
다시 말해, 앞으로 시니피앙스가 도입되는 기점이 될 자기 절단이라는 시련을 통해 아이로부터 분리돼버린 무언가가 그 원심적인 궤적을 통해 표현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실패꾸러미 놀이는 엄마의 부재가 아이의 영토의 경계선이라 할 수 있는 요람의 가두리에 파놓은 깊은 ‘구렁’에 대한 주체의 응답이기 때문이다.
아이는 그 구렁 주변에서 뛰어넘기 놀이를 할 수밖에 없다.
101p
그 실패꾸러미는 (축소된 엄마가 아니라) 주체로부터 떨어져나왔지만 여전히 그에게 남아 있는 주체의 일부분이다.
(아리스토텔레스식으로-인간이 대상을 가지고 사유한다고 말할 수 있는 장소)
만일 시니피앙이 주체의 첫번째 낙인이라면, 우리는 이러한 대립이 이 경우에 실제로 적용되는 대상, 즉 실패꾸러미가 바로 주체가 위치하는 지점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그 대상을 소문자a로 부를 것입니다.

이 놀이 활동 전체는 반복을 상징한다.
주체의 분할Spaltung의 원인이 된 엄마의 떠남을 반복하는 것이다.(하지만 엄마에게 돌아와 달라고 호소하는 어떤 욕구의 반복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이 놀이가 겨냥하는 것은 표상된 것으로서 거기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것이다.
?)왜냐하면 vorstellung(imagination,mental image..)의 reprasentanz인 것은 바로 놀이이기 때문이다.

?)만약 발달이 ‘투케’라는 헛디딤에 의해, 오직 우발적인 사고에 의해서만 활성화된다면, 이는 ‘투케’가 우리를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이 세계 자체의 동기가 되는 곳이라 여겼던 곳으로 이끄는 한에서다.

102
세계는 어떤 지점에서는 클리나멘을 필요로 했다. 데모크리토르는 순수한 부정성의 기능을 반박하고 거이에 사유를 도입하고자 하면서, 클리나멘을 겨냥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본질적인 것은 없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어떤 없는 것이 아니라 어떤 있는 것이다”

라캉“아마도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닌 것이라라”
전체 0

전체 483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SF읽기] SF의 전환; 도약 - 7월 26일 시작! (2,4주 수요일, 저녁7시)
bomi | 2023.07.16 | 추천 0 | 조회 2844
bomi 2023.07.16 0 2844
공지사항
세미나 홍보 요청 양식
다중지성의정원 | 2022.01.11 | 추천 0 | 조회 2453
다중지성의정원 2022.01.11 0 2453
공지사항
[꼭 읽어주세요!] 강의실/세미나실에서 식음료를 드시는 경우
ludante | 2019.02.10 | 추천 0 | 조회 5527
ludante 2019.02.10 0 5527
공지사항
세미나를 순연하실 경우 게시판에 공지를 올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ludante | 2019.01.27 | 추천 0 | 조회 5193
ludante 2019.01.27 0 5193
공지사항
비밀글 <삶과 예술> 세미나 참가자 명단 - 2019년 1월
다중지성의정원 | 2018.02.25 | 추천 0 | 조회 55
다중지성의정원 2018.02.25 0 55
395
5/11 『프랑켄슈타인』 토론거리
bomi | 2022.05.11 | 추천 0 | 조회 439
bomi 2022.05.11 0 439
394
5/11 메리 W. 셸리 『프랑켄슈타인』 토론거리
chu | 2022.05.11 | 추천 0 | 조회 568
chu 2022.05.11 0 568
393
다음 시간(5/11) 공지/ 지난 시간 후기
bomi | 2022.05.08 | 추천 0 | 조회 430
bomi 2022.05.08 0 430
392
4/27 『템페스트』 토론거리
bomi | 2022.04.27 | 추천 0 | 조회 475
bomi 2022.04.27 0 475
391
다음 시간(4/27) 공지 / 세미나 진행 방식 안내
bomi | 2022.04.14 | 추천 1 | 조회 426
bomi 2022.04.14 1 426
390
4/13 [SF의 계보, 키워드로 읽기] 세미나 첫 시간 안내드립니다.
bomi | 2022.04.07 | 추천 0 | 조회 464
bomi 2022.04.07 0 464
389
3/30 『프롤레타리아의 밤』 12장 후반부
- - | 2022.03.30 | 추천 0 | 조회 424
- - 2022.03.30 0 424
388
[공지] 4월 13일 (수요일) 저녁 7시 30분, 'SF의 계보, 키워드로 읽기' 세미나를 시작합니다!
bomi | 2022.03.25 | 추천 1 | 조회 1986
bomi 2022.03.25 1 1986
387
3/23 『프롤레타리아의 밤』 12장 전반부
bomi | 2022.03.23 | 추천 0 | 조회 524
bomi 2022.03.23 0 524
386
3/16 오늘 세미나가 다음 주로 순연 되었습니다.
bomi | 2022.03.16 | 추천 0 | 조회 368
bomi 2022.03.16 0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