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미디어아트>와 <플럭서스>: 백남준, 요제프 보이스, 존 케이지를 중심으로 (강사 : 전선자)

2분학기
작성자
다중지성의정원
작성일
2018-02-22 17:59
조회
855
[미학] <미디어아트>와 <플럭서스>: 백남준, 요제프 보이스, 존 케이지를 중심으로

강사 전선자
개강 2012년 3월 26일부터 매주 월요일 오후 3시 (8강, 120,000원)
강의큐레이터(쿠쿠) 순천

강좌취지
< 미디어아트 >는 광범위하고 변화무쌍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런 미디어아트의 속성이 생긴 것에는 그 이유와 발달 단계가 있다. 그것은 본질적인 문제를 건드리는 일이었다. 원래 예술에는 적어도 종교적, 철학적, 도덕적 역할이 종합적으로 침투해 있었고, 표현형식도 인간 경험의 총체성과 결부된 것에서만 도출해 냈다. 그런데 근대부터 망막에 비춰진 것만을 표현한 예술이 등장했다. 이렇게 망막에 귀속된 예술은 본연의 역할을 폐기한 상태였으며, 그래서 이같은 예술은 변해야 한다는 각성이 이미 마르셀 뒤샹에게서부터 나타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까지만 해도 서구문명은 여전히 물질적 진보와 새로운 대상을 발견하는 시대였었고, 이에 상응한 예술도 망막에 비춰진 대상의 물질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 만큼 서구의 예술적 사유는 하나의 관점에서 출발한 ‘선형적인’ 발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실존의 탐색은 집요했고, 지속적인 실존에 대한 사유가 20세기의 예술에도 드디어 변화를 가져 왔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문명에 대한 회의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젊은이들에게 더 나은 세상의 구현이라는 이상을 갖게 만든다. 1950년대의 젊은 예술가들은 ‘새 포도주는 새 주머니에’라는 구절처럼 자신의 삶을 이미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관계 속에서 출발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그들은 자신들이 품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술과 삶의 합일 속에서만 실현가능한, 서로가 ‘상호적으로’ 서로의 주관성을 인정하고 그러면서 서로 소통하는 “상호주관성”을 추구했다. 그래서 그들은 ‘자아를 버리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미 알았다. 그래서 그들은 예술생산자와 그 수용자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 예술매체(media)와 대중적 수용자 간의 ‘만남과 결합(interface)’, ‘매체(media)환경에 대한 예술가들의 개입(intervention)‘을 과감히 실행한다. 동시에 문화적 속물근성과 타협하지 않기 위해 ‘다다-정신’에 회귀하는데, 이것은 이러한 개념과 함께 예술이 삶을 더 ‘진솔’하게 표현하고자 했던 일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젊은 예술가들은 맨 먼저 예술계의 주류와는 달라야 했고, 이 같은 이상을 끊임없이 추구한 무리들이 <플럭서스>라는 이름으로 그 뜻을 표출하기 위해 여러 대륙(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에서 독일로 왔고, 특수한 독일의 전후 상황 속의 ‘문화지유지대’를 형성한 라인지역에서 그들의 실험적인 예술을 적극적으로 세상 속으로 관철시키려 노력했다. 이 강의는 이런 예술가들이 어떻게 이처럼 모일 수 있었으며, 어떻게 그들의 실험적인 예술을 이해했고 표출했는가를 역사적으로 또 예술가들의 행보 속에서 살펴보면서, <현대 미디어아트>의 행보와 주제를 역사적으로 탐구한다.

1강 <현대 미디어아트>에 관한 입문과 주제를 통한 소개
2강 <미디어아트>의 주제별 탐색. 주제에 관한 범위와 다양성
3강 <미디어아트>의 주제별 탐색. 주제에 관한 역사성, 관찰자와 상호작용: “사회적 조각”
4강 <미디어아트>의 탄생: 예술의 존재론적 문제 I
5강 <미디어아트>의 탄생: 예술의 존재론적 문제 II
6강 실험예술가와 <플럭서스>: 존 케이지, 백남준
7강 백남준과 플럭서스 친구들
8강 백남준과 요제프 보이스

참고문헌
최두은의 미디어아트 다시보기. http://www.artmuseums.kr
『Berlinart 1961-1987』, 전시카탈로그, 뮌헨 1987.
『1962 Wiesbaden FLUXUS 1982』, 전시카탈로그 1982.
『Nam June Paik: Fluxus & Video』, Wulf Herzogenrath, 뮌헨 1983.
『플럭서스』, 르네 블록, 열화당, 1990.
『백남준 비디오』, 에디트 데커, 김정용 옮김, 궁리 2001.
『백남준: 말에서 크리스토까지』, 백남준아트센터 2010.
『나의 사랑, 백남준』, 시케코 구보다 & 남정호, 이순 2010.
『백남준 이야기』, 이경희, 열화당 2000.
『플럭서스 예술혁명』, 김진호 전선자 조정환, 갈무리 2011.

강사소개
‘현대인에게 이콘이란 무엇인가’라는 명제를 놓고 이콘과 성화의 영성적인 표현매체를 연구했으며, 독일 예술인 생태공동체에서 예술가와 사회, 그리고 예술작품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면서 플럭서스와 그 주요 멈버인 요제프 보이스의 역량을 사회적, 예술적 또 생태적이고도 종교적인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예술의 기수격인 <플럭서스>와 그 멤버들인 백남준, 요제프 보이스, 존 케이지, 히긴스 등과 <미디어아트>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