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호부터 『자율평론』의 발행형식이 달라집니다.

편집자글
작성자
자율평론
작성일
2018-02-20 08:48
조회
886
1. 실험계간지 『자율평론』을 37호부터는 수시 발행되면서 분기별로 종합되는 형식으로 발행형식을 바꿉니다.

2. 2002년 7월에 창간된 『자율평론』은 창간호부터 30호까지 웹진형태로 발행되었고 31호부터 34호까지는 웹진형태와, 그것을 기반으로 한 종이매체 『아우또노마 M』으로 이중화되어 발행되었으며 35호에서 36호까지는 웹진형태를 없애고 메인형태를 pdf 형태로 바꾸었습니다.

3. 이 모든 형태들이 3개월에 한 번씩 독자들과 만날 수 있는 기존의 잡지리듬을 갖는 한계를 갖고 있어 인터넷의 항상성과 어울리지 않았습니다. 이외에도 pdf화와 잡지체제를 갖추기 위한 재가공과 형식화의 가외 노동을 요구하는 문제도 갖고 있었습니다. 37호부터 『자율평론』은 수시발행되는 웹진형태이면서 각 분기[계절]마다 매듭을 지어주어 호수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발행하고자 합니다. 이것을 통해 웹의 항상성에 부응하면서 각호가 일정한 특성과 이름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고자 합니다. 관심과 참여를 당부합니다.
전체 0

전체 495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5
[37호] 신체의 ‘공통체’와 에너지 플로우ㅣ이성혁(문학평론가)
자율평론 | 2018.02.22 | 추천 3 | 조회 1320
자율평론 2018.02.22 3 1320
14
[37호] 붕괴의 가속화, 감수성만큼 느린 봉기, 새로운 희망ㅣ한태준(동국대학교 영화학 석사생)
자율평론 | 2018.02.22 | 추천 4 | 조회 895
자율평론 2018.02.22 4 895
13
[37호] 전지구적 금융자본주의에 대한 시(詩)적 저항연습ㅣ용정훈(인문학 독자)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4 | 조회 1242
자율평론 2018.02.21 4 1242
12
[37호] 금융독재, 삶의 수식화에 맞선 사회적 연대를 재구축하는 무기로서의 시ㅣ권범철(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 연구원)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4 | 조회 1176
자율평론 2018.02.21 4 1176
11
[37호] 과학과 시민들의 삶, 그리고 민주주의의 관계ㅣ김영철(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3 | 조회 1189
자율평론 2018.02.21 3 1189
10
[37호] 트위터로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ㅣ권범철(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 연구원)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2 | 조회 1165
자율평론 2018.02.21 2 1165
9
[자율평론 37호] '국가에서 마을로'를 읽고ㅣ김영철(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2 | 조회 1200
자율평론 2018.02.21 2 1200
8
[자율평론 37호] 왜 우리는 상품에만 의존하게 되었는가?ㅣ권범철(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 연구원)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2 | 조회 1066
자율평론 2018.02.21 2 1066
7
[자율평론 37호] 오늘날에 '마그나카르타 선언'이 갖고 있는 의미는ㅣ김영철(다중지성의 정원 회원)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2 | 조회 1239
자율평론 2018.02.21 2 1239
6
[자율평론 37호] 들뢰즈의 영화철학 앞에서 머뭇거리고 있는 이들을 위한 책ㅣ이성혁(문학평론가)
자율평론 | 2018.02.21 | 추천 2 | 조회 1402
자율평론 2018.02.21 2 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