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사변적 은혜』 | 애덤 S. 밀러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4.5.27

카이로스
작성자
갈무리
작성일
2024-05-25 13:36
조회
135


사변적 은혜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신학
Speculative Grace :
Bruno Latour and Object-Oriented Theology

애덤 S. 밀러 지음
안호성 옮김



애덤 밀러의 책은 신학에 대한 대담한 실험이자 프랑스 과학사회학자 브뤼노 라투르의 사유를 명쾌하게 해설하는 책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갖춘 『사변적 은혜』는 우주와 그 안에 서식하는 수많은 존재자에 관한 심오한 성찰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사유를 자극하며, 윌리엄 제임스가 세계의 “만발하여 파르르 떠는 혼란”이라고 부른 것에 대한 경이의 감각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 스티븐 샤비로


간략한 소개

애덤 S. 밀러의 『사변적 은혜』는 브뤼노 라투르의 “비환원의 원리”의 관점에서 은혜에 관한 새로운 설명을 구성한다. 이 책은 은혜에 관한 전통적인 기독교적 이해를 하향식의 유신론적 존재론에서 행위자-기반의 객체지향 존재론으로 실험적으로 이동시키며, 은혜에 대한 객체지향 접근법의 모델을 제작한다.

정말로 통솔하는 자가 없다면 어떨까? 신조차 통솔하는 자가 아니라면 어떨까? 모든 것을 잃을까? 진리는 역사에서 벗어날까? 실재는 무너질까? 종교는 헛된 것이 될까? 은혜와 구원은 무의미해질까? 저자에 따르면 인간이든 비인간이든 신이든, 객체가 되는 것은 정치가가 되는 것이다. 결집하고, 관계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협상하며, 타협하고, 구성하는 것이다. 객체지향 신학에서 신은 다른 모든 존재자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객체이다. 신은 다른 객체와 마찬가지로 복잡한 다수체로 다른 많은 객체를 구성하고, 그것들로 구성된다. 신은 이용 가능하고 수난 가능하다. 신은 저항적이고 어려운 작업의 불가피성에 의해 은혜를 받을 것이다. 그리고 은혜는 행위성의 주고받음을 통해 창발하는 힘이다. 행위성은 타자를 대신하여 자신을 위해 행위하는 은혜이거나 자신을 대신하여 타자를 위해 행위하는 은혜이다.

『사변적 은혜』는 애덤 밀러의 객체지향 신학 프로젝트일 뿐만 아니라 브뤼노 라투르의 철학에 대한 친절한 안내서이자 객체지향 존재론을 위한 용어 사전이다.


상세한 소개

신학, 브뤼노 라투르와 만나다

애덤 S. 밀러의 『사변적 은혜』는 브뤼노 라투르의 저작을 활용해 전통적인 유신론적 세계관 바깥에서 신학에 접근하려고 한다. 라투르의 선구적인 작업은 일상적인 우주를 구성하는 객체들의 힘, 제한성,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그 분석은 객체의 행위성을 무대 뒤 혹은 아래에서 작용하는 힘이나 무대의 외부에서 무대를 설계하는 시계공으로 환원하지 않는다. 라투르의 작업은 무대의 바닥을 연기하는 어떤 익명의 힘의 장이나 시계공을 연기하는 초월적인 신에 의지하지 않는 비신론적 연극을 연출한다. 밀러는 라투르의 이러한 비신론적 연극을 활용하여 역설적인 방식으로 신학의 연극을 펼친다.

특히 밀러는 은혜라는 개념을 유신론적 플랫폼에서 객체지향 플랫폼으로 이식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식한다는 것은 다른 플랫폼 혹은 다른 운영체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제-특정적 코드 구간을 다시 작성한 다음 새 플랫폼에서 프로그램을 재컴파일해야 한다. 컴파일은 간단히 말해서 한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행위이다. 그렇다면 어떤 개념을 한 플랫폼에서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한다는 것은 그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위해 그 개념을 둘러싼 코드를 수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밀러가 ‘은혜’라는 개념에 수행하는 작업이 바로 이러한 컴파일이다.

밀러는 은혜가 초월적인 신의 무조건적 선물이 아니라 모든 객체에 내재하여 있다고 말하면서, 라투르주의적인 컴파일을 수행한다. 밀러는 모든 물질적 사물을 비롯한 모든 객체로부터 은혜가 방출된다고 상상한다. 모든 객체에 은혜가 내재하여 있는 상황 속에서, 작업과 고난, 행위성과 악의 표현은 객체들의 민주주의 속의 동등한 객체들이 연출해내는 상호작용으로부터 발현된다.

객체의 두 얼굴 : 저항적 이용 가능성

그러나 밀러가 은혜를 이식하려는 플랫폼을 특정하지 않는다면 이식 작업을 수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플랫폼에 맞춰 은혜 개념의 코드를 수정하기 위해서 밀러는 그 플랫폼을 탐색해야 한다. 밀러가 탐색할 플랫폼의 이름은 ‘객체지향 플랫폼’으로, 은혜를 이식하는 작업을 달성하기 위해 밀러는 객체지향 플랫폼 안팎을 넘나들며 플랫폼에 내장된 다양한 개념과 조우한다. 이 여정을 통해 객체는 두 얼굴을 가진 존재자라는 점이 밝혀진다.

객체는 다른 객체와 연결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동시에 다른 객체와의 관계에 “저항적”이다. 어떤 객체도 다른 객체로 완전히 환원될 수 없는 한, 객체에는 다른 객체와의 관계에 저항하는 측면이 있다. 그런데 어떤 객체도 다른 객체로 부분적으로 환원되는 일을 피할 수 없는 한, 객체에는 다른 객체와의 관계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라투르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어떤 것도 그 자체로는 다른 어떤 것으로 환원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거나 한 것이 아니다.” 객체의 두 얼굴은 브뤼노 라투르의 이 비환원의 원리(principle of irreduction)에 따라 도출된 것이다. 밀러는 이 두 얼굴을 객체의 “저항적 이용 가능성”이라고 정식화한다. 밀러에 따르면 은혜에 대한 나의 개방성, 그리고 죄는 이 저항적 이용 가능성에 대한 나의 개방성으로부터 흘러나온다. 은혜를 이식하려면 객체의 “저항적 이용 가능성”에 충실하고자 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은혜가 흘러나온다.

종교와 과학

이 책이 보여주는 또 하나의 예상 밖 전개는 종교와 과학 사이의 뒤바뀐 관계이다. 밀러는 라투르에게서 차용한 놀라운 격언을 통해 “종교는 떠나려는 우리의 의지를 꺾는 것”이라고 말한다. 종교는 현실에서 물러서려는 우리의 의지를 꺾고 우리 발밑의 일상적 세계로 우리를 돌려보내는 것이다. 반면에, 과학은 우리의 일상적 세계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우리를 보내는 것이다. 종교는 너무나 이용 가능한 객체, 망가지기 전까지는 볼 수 없는 하이데거의 망치처럼 이용하는 것이 너무 쉬워서 보이지 않게 된 객체로 우리의 주의를 돌리려고 한다. 과학은 너무나 저항적인 객체, 이용하는 것이 너무 어려워서 보이지 않는 객체로 우리의 주의를 돌리려고 한다. 흔한 전개와는 반대로, 과학은 초월적 영역으로, 종교는 내재적 영역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밀러에 따르면, 과학과 종교는 모두 도덕성을 배양할 수 있다. 과학과 종교는 모두, 안정된 관점을 흔들 수 있는 교란을, 안정된 공동체를 어지럽힐 수 있는 의심을 원칙적으로 추가한다. 관점이 체계라면, 과학과 종교는 체계가 포함하는 것들이 정렬된 전경에 체계가 배제하는 것들을 끌고 온다. 과학과 종교는 수단이 되어 보이지 않게 된 망치, 우리의 일상과 무관한 것으로 배제된 백상아리의 지각적 우주를 통해 의심을 배양한다. 애덤 S. 밀러가 참조하는 과학철학자 브뤼노 라투르는 이것이 생태 위기가 “수단들의 일반화된 반란으로 나타나는 이유”라고 설명하면서 “고래, 강, 기후, 지렁이, 나무, 송아지, 소, 돼지, 새끼 새 등 어떤 존재자도 더는 ‘단순히 수단으로’ 취급받는 데 동의하지 않고 ‘언제나 목적으로도’ 대접받기를 주장한다.”고 말한다.

책의 구성 : 객체지향 존재론의 용어사전

이 책은 저자의 한국어판 서문과 레비 브라이언트의 서문, 40개의 장,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을 구성하는 40개의 장은 신학적 주제뿐만 아니라 객체지향 존재론과 철학을 둘러싼 여러 소주제를 다루고 있다. 은혜뿐만 아니라 형이상학적 민주주의, 방법론, 평평한 존재론, 비환원의 원리, 초월, 행위성, 번역, 표상, 인식론, 구성주의, 고난, 블랙박스, 실체, 본질, 형상, 주체, 참조, 진리, 해석학, 믿음, 진화, 도덕, 현전 등 수많은 소주제를 다루는 애덤 밀러의 『사변적 은혜』는 애덤 밀러의 신학 프로젝트로서뿐만 아니라 브뤼노 라투르의 철학에 대한 친절한 안내서, 그리고 객체지향 존재론을 위한 용어 사전으로도 읽을 수 있다.

『사변적 은혜』는 형이상학적으로 동등한 객체들이 서식하는 객체지향 우주에서 종교와 과학이 가질 수 있는 제한성, 강점, 문제점을 탐구한다. 과학 대 종교에 관한 밀러의 분석은 형이상학에 관한 현대의 여러 경합하는 주장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종교 독자와 비종교 독자들이 주목할 만하다. 밀러의 논증은 과학과 종교의 영역을 재고할 필요성을 느끼게 만든다. 브라이언트의 말처럼 밀러의 신학은 신(theos) 없는 신학일지도 모르지만, 그 신학은 “아직은” 현존하지 않을 수도 있는 신에 관한 신학, 무력한(powerless) 신의 신학이다.


추천사

애덤 밀러의 책은 신학에 대한 대담한 실험이자 프랑스 과학사회학자 브뤼노 라투르의 사유를 명쾌하게 해설하는 책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갖춘 『사변적 은혜』는 우주와 그 안에 서식하는 수많은 존재자에 관한 심오한 성찰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사유를 자극하며, 윌리엄 제임스가 세계의 “만발하여 파르르 떠는 혼란”이라고 부른 것에 대한 경이의 감각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 스티븐 샤비로, 『탈인지』, 『사물들의 우주』의 지은이, 웨인 주립대학교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객체지향 철학 분야는 종교철학과의 관계에 관한 중대한 연구를 필요로 해왔다. 애덤 밀러는 이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예리한 길을 제시했다. 브뤼노 라투르의 저작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 책은 집중되고 명쾌한 설명 그 이상의 작품이다. 이 책은 또한 은혜를 객체의 “저항적 이용 가능성”으로 번역하고 민주화하며, 종교의 진정한 과업을 내재성, 평범함, 육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 놓는 놀랍고 건설적인 신학의 산물이기도 하다. 과학과 종교, 철학과 신학 사이의 경계를 다시 그리는 이 책은 사후 세계나 순수성에 대한 판타지로 도망가지 않고 휴머니즘을 넘어서는 길을 제시한다. 『사변적 은혜』라는 도발적이고 뛰어난 책은 종교라는 객체에 관한 미래의 철학적 작업에 흥미로운 의제를 제시한다. ― 스티븐 셰익스피어, 리버풀 호프 대학교


지은이

애덤 S. 밀러 Adam S. Miller, 1976~

미국의 종교 비평가, 종교 해석가, 콜린 칼리지의 철학과 교수. 브리검 영 대학교에서 비교문학 학사 학위를, 빌라노바 대학교에서 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전공 분야는 현대 프랑스 철학과 종교철학이다. 몰몬교 연구 출판사 솔트 프레스(Salt Press)를 공동 설립했고, ‘몰몬 신학 세미나’의 공동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Badiou, Marion, and St. Paul: Immanent Grace (2008), 『사변적 은혜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신학』(2013 ; 2024), Letters to a Young Mormon (2014), Grace Is Not God's Backup Plan: An Urgent Paraphrase of Paul's Letter to the Romans (2015), An Early Resurrection: life in Christ Before You Die (2018) 등이 있다. Philosophy Today, Horizons, Journal of Cultural and Religious Theory, Review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등 여러 저널에 다수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옮긴이

안호성 Ahn Ho Sung, 1995~

와세다대학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하고 클레어몬트신학대학원을 중퇴하였다. 사변적 실재론에 관심이 많으며, 옮긴 책으로는 『사물들의 우주 : 사변적 실재론과 화이트헤드』(갈무리, 2021), 『탈인지 : SF로 철학하기 그리고 아무도 아니지 않은 자로 있기』(갈무리, 2022), 『실재론적 마술 : 객체, 존재론, 인과성』(갈무리, 2023), 『사변적 은혜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신학』(갈무리, 2024)이 있다.


책 속에서

나는 밀러의 책이 나를 깊이 흔들었으며, 신학과 종교에 관한 나의 이해를 동요시켰음을 고백한다. 짧고도 긴 페이지들 속에서, 밀러의 접근법은 세속적인 것과 독실한 것 사이의 현대 논쟁에서 볼 수 있는 범주화를 피하는 동시에 전통 신학이 제공하는 선택지를 벗어난다. ― 레비 R. 브라이언트의 서문, 22쪽

상아탑 음모론의 유서 깊은 브랜드로서, 형이상학의 작업 자체는 장면의 뒤에서 작용하는 보이지 않는 손을 드러내고, 다수성을 좀 더 근본적인 공통 요인으로 일방적으로 환원함으로써 무질서하고 수동적인 다수성의 운동을 정합적 전체로 통일하고 지시하는 임무로 오랫동안 이해되어 왔다. ― 4. 음모론, 40쪽

인간이든 비인간이든 신이든, 객체가 되는 것은 정치가가 되는 것이다. 객체가 된다는 것은 결집하고, 접합하고, 관계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협상하고, 타협하고, 구성하는 것이다. ― 7. 형이상학적 민주주의, 57쪽

사전에 형성된 세계가 없다면 객체의 다수성은 자력으로 통합체를 구성해야 한다. 여기서 라투르의 내기란, 크고 느린 환원주의 부양 장치를 제거해도 객체들이 잘 해내리라는 것이다. ― 10. 국소적 구성, 75쪽

라투르는 은혜라는 주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지만 ― 바로 그 주제를 다루는 것이 이 책의 작업이다 ― 그의 복수우주에서 은혜는 하늘로부터 내려올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다. 하늘과 땅은 유화되었다. 오히려, 은혜는 다수성의 발효로부터 출현해야 한다. 은혜는 객체들의 부산한 주고받기 속에 내장되어 있어야 한다. ― 14. 전위된 은혜, 96쪽

라투르는 자신이 “힘겨루기”라고 말할 때 “약함겨루기”(trials of weakness)에 관해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한다. 모든 객체는 다른 객체들과의 관계를 통해 생성하는 차이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 자체”로 볼 때 모든 객체는 강하기보다는 약하다. ― 15. 저항적 이용 가능성, 106쪽

모든 행위자는 자신이 힘을 빌린 다수성을 숨기는 기계이다. 행위자는 그 자신을 위해 타자를 대신하여 말하는 객체이다. 그런데 행위자가 다수성을 가지고 복화술을 하는 경우와 다수성이 행위자를 가지고 복화술을 하는 경우를 간단하게 결정할 방법이 없으므로 그러한 행위성은 언제나 양날의 검이다. ― 16. 행위성, 116쪽

지식의 목적은 고립시키는 것이 아니라 회합하는 것이고, 어떤 타락 전의 자유를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종류의 상호의존성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참조는 환원적 상응을 통해 작동하지 않으며 지식도 마찬가지이다. ― 28. 진리, 186쪽

최종적 결의안이 없기에, 도덕성은 어떤 합의도 궁극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것을 막는 사업이다. ― 36. 도덕, 238쪽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7
레비 R. 브라이언트의 서문 14
약어표 24

1 서론 27
2 은혜 이식하기 32
3 은혜 35
4 음모론 40
5 실험적 형이상학 44
6 증식 49
7 형이상학적 민주주의 56
8 방법론 63
9 평평한 존재론 69
10 국소적 구성 74
11 다마스쿠스에의 길 79
12 비환원의 원리 84
13 초월 90
14 탈소재된 은혜 95
15 저항적 이용 가능성 101
16 행위성 111
17 번역 118
18 표상 122
19 인식론 131
20 구성주의 136
21 고난 144
22 블랙박스 152
23 실체 157
24 본질 161
25 형상 165
26 주체 170
27 참조 175
28 진리 182
29 해석학 189
30 실험실 196
31 과학과 종교 203
32 믿음 211
33 성상 사랑 218
34 신 225
35 진화 230
36 도덕 236
37 은혜의 두 얼굴 241
38 영 248
39 기도 254
40 현전 260
41 결론 265

참고문헌 267
찾아보기 269


책 정보

2024.5.27 출간 l 130×188mm, 무선제본 l 카이로스총서103, Mens
정가 18,000원 | 쪽수 272쪽 | ISBN 9788961953498 93100
도서분류 객체지향 철학, 종교철학, 사변적 실재론


북카드

바로가기


구입처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보도자료
전체 303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03
<신간> 『사변적 은혜』 | 애덤 S. 밀러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4.5.27
갈무리 | 2024.05.25 | 추천 0 | 조회 135
갈무리 2024.05.25 0 135
302
<신간> 『객체란 무엇인가』 | 토머스 네일 지음 | 김효진 옮김 | 2024.5.1
갈무리 | 2024.05.08 | 추천 0 | 조회 243
갈무리 2024.05.08 0 243
301
『죽음의 왕, 대서양의 해적들』 | 글·그림 데이비드 레스터 | 글 마커스 레디커 | 엮은이 폴 불 | 옮긴이 김정연 | 감수 신은주 | 2024.3.29
갈무리 | 2024.04.10 | 추천 0 | 조회 257
갈무리 2024.04.10 0 257
300
『육식, 노예제, 성별위계를 거부한 생태적 저항의 화신, 벤저민 레이』 | 글·그림 데이비드 레스터 | 엮은이 마커스 레디커·폴 불 | 옮긴이 김정연 | 감수 신은주 | 2024.3.29
갈무리 | 2024.04.10 | 추천 0 | 조회 222
갈무리 2024.04.10 0 222
299
『기준 없이』 | 스티븐 샤비로 지음 | 이문교 옮김 | 2024.2.24
갈무리 | 2024.02.29 | 추천 0 | 조회 397
갈무리 2024.02.29 0 397
298
『예술과 공통장』 | 권범철 지음 | 2024.02.06
갈무리 | 2024.02.05 | 추천 0 | 조회 509
갈무리 2024.02.05 0 509
297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 문병호·남승석 지음 | 2024.1.24
갈무리 | 2024.01.29 | 추천 0 | 조회 483
갈무리 2024.01.29 0 483
296
『초월과 자기-초월』 | 메롤드 웨스트폴 지음 | 김동규 옮김 | 2023.12.29
갈무리 | 2023.12.30 | 추천 0 | 조회 604
갈무리 2023.12.30 0 604
295
『대담 : 1972~1990』 | 질 들뢰즈 지음 | 신지영 옮김 | 2023.11.30
갈무리 | 2023.12.04 | 추천 0 | 조회 607
갈무리 2023.12.04 0 607
294
『자기생성과 인지』 |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 정현주 옮김 | 2023.11.3
갈무리 | 2023.11.06 | 추천 0 | 조회 624
갈무리 2023.11.06 0 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