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429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321 |
[74호] 통과하고 투과하는 관계, 『종과 종이 만날 때: 복수종들의 정치』ㅣ전우형
자율평론
|
2022.12.01
|
추천 0
|
조회 102
|
자율평론 | 2022.12.01 | 0 | 102 |
320 |
[74호] 함께 산다는 것, 관계“망”의 무한함에 관하여ㅣ배혜정
자율평론
|
2022.12.01
|
추천 0
|
조회 76
|
자율평론 | 2022.12.01 | 0 | 76 |
319 |
[73호] 예술 인간 벤저민 레이ㅣ손보미
자율평론
|
2022.09.20
|
추천 1
|
조회 240
|
자율평론 | 2022.09.20 | 1 | 240 |
318 |
[73호] 놀이로서의 민족주의 ― 『아이돌이 된 국가』를 읽고ㅣ김정구
자율평론
|
2022.09.16
|
추천 0
|
조회 159
|
자율평론 | 2022.09.16 | 0 | 159 |
317 |
[73호] 임상노동자와 ‘임금 없는 삶’의 거리ㅣ김주희
자율평론
|
2022.09.04
|
추천 0
|
조회 114
|
자율평론 | 2022.09.04 | 0 | 114 |
316 |
[73호] 동시대 중국의 민족주의를 이해하는 여덟 가지 방법ㅣ임대근
자율평론
|
2022.08.23
|
추천 0
|
조회 128
|
자율평론 | 2022.08.23 | 0 | 128 |
315 |
[73호] 중국 사이버 민족주의는 어디로 가고 있나?ㅣ서정경
자율평론
|
2022.08.23
|
추천 0
|
조회 106
|
자율평론 | 2022.08.23 | 0 | 106 |
314 |
[73호] 이것은 들뢰즈의 책이지만 들뢰즈의 책이 아니다ㅣ김미정
자율평론
|
2022.08.03
|
추천 0
|
조회 147
|
자율평론 | 2022.08.03 | 0 | 147 |
313 |
[73호] 사건으로서의 들뢰즈와 '학자 되기'의 아상블라주ㅣ권두현
자율평론
|
2022.08.01
|
추천 0
|
조회 385
|
자율평론 | 2022.08.01 | 0 | 385 |
312 |
[73호] 분홍색 팬덤 민족주의, 소분홍(小粉紅)이라는 얼굴을 들여다보다ㅣ전솔비
자율평론
|
2022.08.01
|
추천 0
|
조회 163
|
자율평론 | 2022.08.01 | 0 | 1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