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제] 05/29 『주체의 해석학』 두 번째 강의

작성자
bomi
작성일
2020-05-29 19:03
조회
414
삶과예술 세미나 ∥ 2020년 5월 29일 금요일 ∥
텍스트: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심세광 옮김, 동문사, 2001. 첫 번째 강의

<인용>

epimeleia배려 heautou자기 라는 표현에서 heautou는 무엇일까요? (...) heauton이 무엇인지를 알 필요가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내가 어떤 종류의 동물에 속하고,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고,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는 알 필요가 없다는 말이지요. 중요한 것은 "이 관계는 무엇이며, 재귀대명사 heauton자기는 무엇을 지시하며, 주체의 측면이나 대상의 측면에서 동일한 이 요소는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나는 나 자신을 돌보아야 합니다. 즉 내 자신을 돌보아야 할 자는 나이며, 그러고 나서 나와 동일한 무엇을 돌보아야 하고, '~을 배려하는' 주체와 동일한 무엇을 돌보아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것은 대상으로서의 나 자신입니다. (...) 배려의 주체, 배려의 대상, 이것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결국 이것은 재귀동사 '자기 자신을 돌보기'에 의해 지시된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방법론적 의문입니다. (...) 바로 답변으로 넘어가 봅시다. (92,93)

"배려해야 할 바는 자신의 영혼이다"
<알키비아데스>의 대화자들은 정의로운 통치가 무엇인가를 알려고 하면서, 도시국가에서 화합이 무엇인지를 알려고 하면서 영혼이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개인의 영혼에서 도시국가의 analogon과 모델을 발견하게 된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94)

<메모>

- '자기 배려'가 의미하는 바는 '나'와 '나'의 관계 맺기다.
- 이때, '나'와 관계맺는 '나'는 '영혼'이다.
>> '영혼'은 '나'의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나'의 내부에 있는 것도 아니다. '영혼'은 내재적이다. 즉 사물들 혹은 현상들 안에 갖추어져 있다. 그렇다면, '나의 영혼'은 '나'라는 개체 안에 갖추어져 있다.
- 무엇보다 '나'는 '영혼'과 관계맺기를 할 때, 비로소 **(좋은)정치**도 시작할 수 있다. (즉, 타인과의 좋은 관계맺기도 가능해진다.)
>> 플라톤-소크라테스가 말하는 정치는 '다중에게 조언하기'이다. 즉 도시국가(공동체)에 무엇이 이롭고 무엇이 나쁜지, 무엇이 정의이고 무엇이 부정의인지 조언하는 것이다.
- 그렇다면, 이 '영혼'은 나로부터 출발해 나와 타인을 연결해 주는 통로라고 볼 수 있다.
>> 영혼, 거울, 내재성의 평면, 사유이미지
- 그리고 이러한 통로를 가진(탄생시킨, 구성한) 존재를 우리는 '주체'라고 부른다. (데카르트적-유아적- 주체가 아닌 예술인간적 주체)
>> 자기배려가 없는(자기배려로부터 출발하지 않는) 정치는 나쁜(관계맺은 생명을 죽이는) 정치가 된다. 좋은 정치를 하려면 우선 '자기 배려'에서 출발해야 한다. 즉 '나'는 우선 '나의 영혼'과의 관계맺기를 통해 타인과의 좋은 관계(살리는 정치)맺기로 나아갈 수 있다.
전체 0

전체 487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SF읽기] SF의 전환; 도약 - 7월 26일 시작! (2,4주 수요일, 저녁7시)
bomi | 2023.07.16 | 추천 0 | 조회 3172
bomi 2023.07.16 0 3172
공지사항
세미나 홍보 요청 양식
다중지성의정원 | 2022.01.11 | 추천 0 | 조회 2702
다중지성의정원 2022.01.11 0 2702
공지사항
[꼭 읽어주세요!] 강의실/세미나실에서 식음료를 드시는 경우
ludante | 2019.02.10 | 추천 0 | 조회 5755
ludante 2019.02.10 0 5755
공지사항
세미나를 순연하실 경우 게시판에 공지를 올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ludante | 2019.01.27 | 추천 0 | 조회 5439
ludante 2019.01.27 0 5439
공지사항
비밀글 <삶과 예술> 세미나 참가자 명단 - 2019년 1월
다중지성의정원 | 2018.02.25 | 추천 0 | 조회 55
다중지성의정원 2018.02.25 0 55
229
[발제] 6/19 『주체의 해석학』 237-316
- - | 2020.06.19 | 추천 0 | 조회 350
- - 2020.06.19 0 350
228
[공지] 6/19 『주체의 해석학』 237~316p
bomi | 2020.06.17 | 추천 0 | 조회 301
bomi 2020.06.17 0 301
227
[발제] 6/12 『주체의 해석학』 159-236
- - | 2020.06.12 | 추천 0 | 조회 359
- - 2020.06.12 0 359
226
[공지] 6/12 『주체의 해석학』 <1982년 1월 27일/ 2월 3일 강의>159~236
bomi | 2020.06.09 | 추천 0 | 조회 372
bomi 2020.06.09 0 372
225
[발제] 6/5 『주체의 해석학』 116~158p
jongseong | 2020.06.05 | 추천 0 | 조회 377
jongseong 2020.06.05 0 377
224
[발제] 6/5 『주체의 해석학』 116~158p
- - | 2020.06.05 | 추천 0 | 조회 387
- - 2020.06.05 0 387
223
[발제] 6/5 <자기 배려의 변천: 고대 ~ 그리스 ~ 로마 재정 황금기 > 표
bomi | 2020.06.05 | 추천 0 | 조회 738
bomi 2020.06.05 0 738
222
[공지] 6/5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_<1982년 1월 20일 강의>
bomi | 2020.06.02 | 추천 0 | 조회 407
bomi 2020.06.02 0 407
221
[발제] 2020.05.29 <주체의 해석학> (1)
jongseong | 2020.05.29 | 추천 0 | 조회 407
jongseong 2020.05.29 0 407
220
[발제] 05/29 『주체의 해석학』 두 번째 강의
bomi | 2020.05.29 | 추천 0 | 조회 414
bomi 2020.05.29 0 414